분구묘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개념
분구를 먼저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양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분구묘는 분구를 먼저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양식이다. 돌이나 흙으로 무덤의 외형을 구축하는 원리, 혹은 분구와 매장시설 관계의 측면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부 이남의 서해안 일원에서 원삼국시대 말기에 등장하여 6세기까지 유행했던 묘제이다. 축조 재료에 따라 돌무지분구묘, 성토분구묘, 이음돌분구묘로 나눌 수 있는데 성토분구묘가 성행하였다. 성토분구묘는 호서와 호남지방에서 축조되었는데 방형이나 원형의 저분구묘(低墳丘墓)로 발전하였다. 저분구묘는 분구를 덧붙이는 중대형의 분구묘와 대형 독널과 돌방이 복합되는 대형 분구묘로 발전하였다.

목차
정의
분구를 먼저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양식.
개설

분구를 먼저 조성한 뒤 일정 부분 분구를 헐기도 하면서 그 안에 하나 이상의 매장시설을 축조해 넣는 방식의 무덤을 분구묘(墳丘墓)라 한다. 이런 점에서 분구묘라는 용어는 특정한 분묘 형식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돌이나 흙으로 무덤의 외형을 구축하는 원리, 혹은 분구와 매장시설 관계의 측면에서 붙여지는 이름이다.

하나의 무덤 형식을 의미한다면 전형적인 분구묘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서해안 일원에서 원삼국시대 말기에 등장하여 6세기까지 유행했던 묘제라고 할 수 있다.

연원

분구묘의 기원을 따져보면 요동지역에서 한반도 일원에 분포하는 묘역식(墓域式) 고인돌(支石墓)이나 요동반도의 강상묘(崗上墓)누상묘(樓上墓)와 같은 돌무지분구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로 쌓은 묘역이나 낮은 원형과 방형의 돌무지분구가 발전하여 강가의 초기 고구려 돌무지무덤과 같은 것이 출현했다고 볼 수 있다.

분구묘는 원래 일본 고고학계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이다. 일본 야요이시대[彌生時代]에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묘역과 낮은 분구를 마련한 무덤들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를테면 방형주구묘(方形周溝墓), 방형대상묘(方形台狀墓), 사우돌출묘(四隅突出墓) 등 여러 형식의 분묘가 있는데, 그중 야요이시대 후기에 속하는 무덤 중에 상당한 규모로 성토분구를 조성하는 것을 분구묘라고 불러 왔다.

이러한 구획시설과 낮은 분구를 지닌 야요이시대 무덤들과 같은 형태의 것은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무언가 역사적인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결론적인 언급을 하기에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용

분구묘는 보통 축조 재료에 따라 돌무지분구묘[積石墳丘墓], 성토분구묘(盛土墳丘墓), 이음돌분구묘[葺石墳丘墓]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구려의 돌무지무덤[積石塚]도 돌을 쌓아 축조되는 분구의 내부에 돌덧널[石槨]이나 돌방[石室]과 같은 매장시설을 조성하므로 기본적으로는 분구묘적인 축조원리에 따라 구축된 것이기 때문에 돌무지분구묘의 범주에 넣어야 한다.

성토분구묘는 서해안을 따라 호서, 호남지방에서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발전하였다. 이에 비해 이음돌분구묘란 주로 한강과 임진강유역에서 발견되는데 서울 석촌동 3호분 동쪽 구역이나 연천 학곡리유적의 예처럼 흙을 쌓아 조성하거나 강가의 모래를 끌어 모아 만든 분구 위를 자갈돌로 덮는 형태의 무덤을 말한다.

여러 분구묘 유형 가운데 특히 성토분구묘가 성행하였다. 호서 · 호남지방의 성토분구묘는 원삼국시대 방형주구묘와 같은 형태에서 출발하여 초기 형태인 천안 두정동익산 율촌리의 방형이나 원형의 저분구묘(低墳丘墓)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저분구묘는 두 갈래 형태로 발전해 나갔다. 그 중 한 갈래로서 충청도와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분구묘는 방형을 기본형으로 하여 같은 분구 안에 매장시설을 추가하거나 분구를 덧붙이면서 확장해 나가는 중대형의 분구묘로 발전하였다. 그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4∼5세기경의 서산 부장리 분구묘군과 완주 상운리 분구묘군이 있다.

다른 한 갈래의 발전은 분구묘가 가장 늦은 시기까지 존속했던 전라남도 지방의 분구묘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에서도 초기 형식은 방형의 주구묘와 같은 형태인데, 이것은 뒤에 함평 만가촌영암 내동의 분구묘처럼 긴 사다리꼴의 분구에 널무덤(木棺墓), 덧널무덤(木槨墓) 계통의 매장시설이 여러 개 복합되는 독특한 형태의 분구묘로 발전하게 된다.

5세기 후반 이후에는 나주 반남면의 신촌리, 덕산리 그리고 복암리의 분구묘처럼 많은 수의 대형 독널[甕棺]과 돌방이 복합되는 방대형, 혹은 원형의 대형 분구묘로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분구묘연구』(강인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중서부지역 마한계 묘제의 성격과 발전과정」(김승옥,『분구묘의 신지평』, 2011)
「영산강유역권의 분구묘와 그 전개」(임영진,『호남고고학보』16, 2002)
「분구묘의 인식」(이성주,『한국상고사학보』32, 200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