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지선리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지선리 고분군 발굴모습
부여 지선리 고분군 발굴모습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앞트기식돌방무덤 · 굴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부여지선리고분군(扶餘芝仙里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기념물(1992년 12월 08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외산면 지선리 산20번지 외 2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앞트기식돌방무덤 · 굴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우량탄광 서쪽 능선에 있다. 1990년 현지주민이 밭 경작 중 판석과 할석으로 된 석열을 발견해 신고함으로써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현,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에 의해 지표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이 일대에 석곽묘(石槨墓)로 추정되는 고분군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유구는 백제시대의 석곽 · 석실분 15기, 시대 미상의 토광묘 1기가 있다.

유구들은 좁은 지역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의 유구들은 많이 파괴되어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았다.

내용

이 고분들의 묘실의 길이는 대체로 250㎝ 내외로 폭과 높이에서 두 가지 형태로 구별된다. 하나는 묘실의 높이가 140㎝ 이상인 것으로 내부에서 사람의 활동이 가능하며 편재된 연도를 가지고 있는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이다. 다른 하나는 문주석과 짧은 벽체시설을 가지고 있으나 높이가 80㎝에 불과한 것으로 석실이라기보다는 횡구식석곽분(橫口式石槨墳)으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이 중에는 세 벽은 할석과 판석을 이용해 축조하고 나머지 한 벽은 판석과 할석을 함께 사용해 세우거나 뉘어 쌓아 2단으로 축조한 후, 석곽 중앙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쳐 4매의 판석을 세워 동서 2개의 묘곽을 만든 특이한 구조도 있다.

석재는 대부분 판석과 할석을 혼용하였다. 천정부의 형태는 맞조림식 평천정, 단면 제형(梯形)의 평천정이 있다.

출토유물로는 많은 수의 관정이 출토되어 목관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토기 5점과 철정 수십 점이 출토되었다. 토기는 모두 연질로 유개삼족기(有蓋三足器)를 제외한 4점의 토기 표면에 흑색 유액이 입혀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토기는 아직까지 부여지방에서만 확인된 흑색와질토기와 흡사해 대체적인 제작시기를 백제 후기로 추정할 수 있다.

유개각진어깨삼족기는 배신(杯身)이 매우 얕고 다리가 각진 어깨부에 거의 접해 붙어 있으면서 약간의 면을 이루도록 다듬은 특징이 있다. 공주 중장리 석실분에서 출토된 유개삼족기나 보령 구룡리 석실분에서 출토된 유개삼족기의 기형과 공통되어 양식상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경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삼족토기를 공반하며 판석과 할석 혼용의 맞조림식 횡혈식석실분인 제8호분의 연대는 궁륭형에서 변화된 맞조림식이 출현하는 6세기 중반경보다는 약간 늦은 6세기 후반경으로 볼 수 있다. 지선리 고분군은 대체로 이 시기를 중심으로 조영된 것으로 보인다.

토광묘는 도굴로 인해 내부가 교란되었다. 그러나 부여 초촌면 소사리의 백제 후기 토광묘와 보령 창암리의 백제 토광묘 등이 발견된 예로 보아 석실분들과 동시기에 조영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참고문헌

『부여지선리고분군(扶餘芝仙里古墳群)』(부여문화재연구소, 199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