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덩무덤

목차
선사문화
유적
적당한 크기의 구덩이를 파고 별도의 시설없이 시체를 매장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 토장묘.
목차
정의
적당한 크기의 구덩이를 파고 별도의 시설없이 시체를 매장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 토장묘.
내용

토장묘(土葬墓)와 같은 의미의 용어로 땅을 파고 시체를 묻는다는 뜻에서는 토광묘(土壙墓)와 같다. 그러나 두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토광묘는 시체를 넣을 구덩이를 분명하게 파서 바닥·벽면·뚜껑 등을 명확히 하는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시체만 겨우 넣을 정도로 작고 얕게 판다. 둘째, 토광묘는 시체를 바로 넣는 경우도 있으나 그 수량은 별로 많지 않고 관이나 곽(槨) 같은 시설을 갖추고 그 안에 넣는 것이 일반적인 데 비하여 구덩무덤은 관이나 곽 같은 시설 없이 시체만을 바로 묻는 것이다.

그러므로 토광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빈약한 것이 보통으로 되어 있다. 확실한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구석기시대의 묻기는 이와 같은 구덩무덤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춘천 교동혈거유적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후기의 사람뼈들은 동굴바닥을 간단히 파고 겨우 묻은 형상이었다.

또, 1984년에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리에서 발견된 많은 사람뼈들도 지면을 간단히 얕게 파고 뼈를 묻은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구덩무덤이라 할 수 있다. 이 밖에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내동리 7호분의 분구에서도 이러한 구덩무덤이 발견된 일이 있다.

지면 위 분구 중에 묻는 방법 가운데 돌이나 나무 등을 사용하지 않은 매장법은 모두 구덩무덤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토광묘와는 달리 토축묘(土築墓)라고 하는데, 다장(多葬)의 경우에 많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분구묘연구』(강인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집필자
강인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