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길

선사문화
개념
고분의 입구에서 무덤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
정의
고분의 입구에서 무덤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
개설

널길은 무덤 바깥 길[墓道]과 안 길[羨道]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 길은 흙 또는 돌로 벽을 만들었는데, 자른면 형태가 ㄩ자 모양이고, 천장은 없다. 안 길은 주검과 부장품이 안치된 널방[玄室]과 바깥 길 사이의 공간으로서 연도(羨道)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널길을 이루는 벽은 대개 대충 다듬은 깬 돌 또는 막돌·냇돌 등을 사용하여 쌓지만,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의 고구려 지배층의 굴식돌방무덤과 백제 사비기에 만들어진 능산리형 돌방무덤 등은 얇고 잘 다듬은 판돌을 쌓거나 세워서 만들기도 하였다. 무덤방에 주검을 안치하면, 바깥에서 널길에 돌 또는 돌과 흙을 넣어 막기도 한다. 삼국시대 말인 6세기와 통일신라시대의 지배층 돌방무덤의 널길과 무덤 방 사이에는 문기둥돌과 문지방돌을 설치하고 큰 판돌을 세워 막고, 널길 앞쪽에 깬 돌을 채워 이중으로 막기도 하였다.

널길은 무덤방으로 향해 아래로 경사지거나 계단으로 되거나 편평하거나 위로 경사진 예 등 다양하다. 황해도와 평안도 일대의 2~4세기의 나무방무덤과 전돌방무덤의 널길은 무덤방으로 향해 아래로 경사지거나 계단으로 되어 있다. 평지에 위치한 돌방무덤의 널길은 주로 편평하고, 구릉에 위치한 돌방무덤의 널길은 위로 경사진 예가 많다.

내용

연도는 무덤방에 접속되었는데, 그 모양이 마치 옷의 소매와 비슷하다 해서 붙여진 용어이다. 널길은 매장 공간과 이승을 연결해 준다. 널길의 접속 위치는 무덤방의 앞 벽[전벽]의 중앙·왼쪽·오른쪽 등 다양하다. 널길은 좌·우의 벽과 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널길 너비는 주검 또는 주검을 넣은 나무널과 껴묻거리를 무덤방으로 들여 놓을 수 있는 너비정도로서 대개 50~150㎝이다. 길이는 시기와 지역,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하며 짧게는 60~70㎝, 길게는 300㎝ 이상인 예도 있다. 높이는 사람이 서서 다닐 수 있거나 구부려서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인데, 낮을 경우 80㎝ 내외, 높을 경우 200㎝ 이상인 예도 있다. 널길은 대개 1단이지만, 일부는 2단으로 이루어진 예도 있으며, 2단으로 이루어진 널길은 너비가 앞쪽이 넓고, 안쪽이 좁다. 고구려와 통일신라시대의 지배층들이 묻힌 돌방무덤에 나타난다. 천장은 무덤방의 천장보다 높이가 낮지만, 무덤방의 천장 높이와 차이가 나지 않는 예도 일부 있다.

참고문헌

『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홍보식, 춘추각, 2003)
「연도」(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고분편』, 2009)
집필자
홍보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