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길은 무덤 바깥 길[墓道]과 안 길[羨道]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 길은 흙 또는 돌로 벽을 만들었는데, 자른면 형태가 ㄩ자 모양이고, 천장은 없다. 안 길은 주검과 부장품이 안치된 널방[玄室]과 바깥 길 사이의 공간으로서 연도(羨道)라고도 한다.
널길을 이루는 벽은 대개 대충 다듬은 깬 돌 또는 막돌·냇돌 등을 사용하여 쌓지만,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의 고구려 지배층의 굴식돌방무덤과 백제 사비기에 만들어진 능산리형 돌방무덤 등은 얇고 잘 다듬은 판돌을 쌓거나 세워서 만들기도 하였다. 무덤방에 주검을 안치하면, 바깥에서 널길에 돌 또는 돌과 흙을 넣어 막기도 한다. 삼국시대 말인 6세기와 통일신라시대의 지배층 돌방무덤의 널길과 무덤 방 사이에는 문기둥돌과 문지방돌을 설치하고 큰 판돌을 세워 막고, 널길 앞쪽에 깬 돌을 채워 이중으로 막기도 하였다.
널길은 무덤방으로 향해 아래로 경사지거나 계단으로 되거나 편평하거나 위로 경사진 예 등 다양하다. 황해도와 평안도 일대의 2~4세기의 나무방무덤과 전돌방무덤의 널길은 무덤방으로 향해 아래로 경사지거나 계단으로 되어 있다. 평지에 위치한 돌방무덤의 널길은 주로 편평하고, 구릉에 위치한 돌방무덤의 널길은 위로 경사진 예가 많다.
연도는 무덤방에 접속되었는데, 그 모양이 마치 옷의 소매와 비슷하다 해서 붙여진 용어이다. 널길은 매장 공간과 이승을 연결해 준다. 널길의 접속 위치는 무덤방의 앞 벽[전벽]의 중앙·왼쪽·오른쪽 등 다양하다. 널길은 좌·우의 벽과 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널길 너비는 주검 또는 주검을 넣은 나무널과 껴묻거리를 무덤방으로 들여 놓을 수 있는 너비정도로서 대개 50150㎝이다. 길이는 시기와 지역,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하며 짧게는 6070㎝, 길게는 300㎝ 이상인 예도 있다. 높이는 사람이 서서 다닐 수 있거나 구부려서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인데, 낮을 경우 80㎝ 내외, 높을 경우 200㎝ 이상인 예도 있다. 널길은 대개 1단이지만, 일부는 2단으로 이루어진 예도 있으며, 2단으로 이루어진 널길은 너비가 앞쪽이 넓고, 안쪽이 좁다. 고구려와 통일신라시대의 지배층들이 묻힌 돌방무덤에 나타난다. 천장은 무덤방의 천장보다 높이가 낮지만, 무덤방의 천장 높이와 차이가 나지 않는 예도 일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