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부석사 고려목판(榮州 浮石寺 高麗木板)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은 고려시대에 가는 글자 34자로 새긴 삼본화엄경의 목판이다. 3종 634판으로, 부석사에 소장되어 있다. 동진의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당의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 80권, 당 반야가 번역한 『화엄경』 정원본 40권이다. 첫 번째 번각 시기는 12세기∽13세기 중반으로, 두 번째 번각 시기는 고려 말∽조선 초기로 추정된다. 한국 『화엄경』은 대부분 매항 17자인데, 이 각판은 ‘자세자밀(字細字密)‘의 무주(無註) 34자이다. 거란본계 세자무주의 34자본은 이 목판만 전하고 있어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