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질 ()

목차
조선시대사
개념
병자호란 뒤인 1638년 대신들의 적자를 대신하여 청나라에 잡혀갔던 인질.
목차
정의
병자호란 뒤인 1638년 대신들의 적자를 대신하여 청나라에 잡혀갔던 인질.
내용

병자호란으로 남한산성에서 항전하던 인조는 1637년(인조 15) 정월 삼전도(三田渡)에 나와 항복하고 청나라의 요구대로 11개항의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 가운데 세자와 다른 왕자, 그리고 여러 대신들의 아들을 인질로 보내기로 한 약속에 따라 그해 두 왕자, 즉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 : 뒤의 효종)을, 이듬해에 여러 대신들의 아들을 심양(瀋陽)에 인질로 보냈다.

그런데 1640년 이들이 대신들의 적자가 아닌 서출·양자 또는 문중의 먼 자제라는 사실이 탄로나게 되었다. 즉, 평성부원군 신경진(申景禛)은 그의 얼손(孽孫), 판중추부사 심열(沈悅)은 첩자(妾子), 병조판서 이시백(李時白)은 서자를 보냈으며, 그밖에도 인질을 대신 보낸 사람이 많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조정에서는 그 책임을 물어 완성부원군 최명길(崔鳴吉), 이조판서 이경석(李景奭), 전 형조판서 홍보(洪○), 공조판서 남이공(南以恭), 병조판서 이시백 등을 파직하여 중도(中道)에 귀양보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
『한국사』-근세후기편-(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5)
집필자
김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