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장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고려와 거란 · 여진족 등 북방 민족 사이의 교역을 위해 설치된 무역장.
이칭
이칭
각서(榷署)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
공포 시기
고려 전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조선시대
시행처
고려 정부
내용 요약

각장(榷場)은 고려시대 고려와 거란·여진족 등 북방 민족 사이의 교역을 위해 설치된 무역장이다. 각장은 호시의 일종이다. 고려와 거란 사이의 각장은 1005년(목종 8) 거란에 의해 보주(保州)에 설치된 것이 그 최초의 일로, 각장 개설은 비록 경제적 무역이 그 근본 목적이었다고 하더라도, 고려와 여진에 대한 정치·외교적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기 위한 목적도 지니고 있었다. 고려와 여진 사이의 각장은 서북면으로는 예종 때 의주·정주(靜州)에, 동북면으로는 고려의 정주(定州)와 여진의 청주(靑州)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정의
고려시대, 고려와 거란 · 여진족 등 북방 민족 사이의 교역을 위해 설치된 무역장.
제정 목적

각장은 원래 송나라의 태조 이후 한족(漢族)과 북방 민족 사이에 개설된 공식 무역장을 일컫던 용어로, 주6의 일종이었다. 이민족과의 분계선 주변의 백성과 특수업에 종사하는 호(戶)를 관할하에 두었고, 이들에게 증서를 발급하여 교역을 관리하였다. 각장 교역은 많은 통제를 받았는데, 거래될 수 있는 물품이 제한되었던 것은 물론이고, 거래의 우선권은 관에 있었다. 송나라와 요나라 · 금나라 사이의 무역장은 물론, 송과 주2와의 무역장도 각장이라고 칭하였다. 일명 각서(榷署)라고도 하며, 그를 관리하는 관청은 각무(榷務)라고 하였다.

내용

각장에서는 관무역과 민간 무역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요나라와의 사이에 설치된 웅주(雄州) · 패주(覇州)의 각장, 금나라와의 국경에 개설된 사주(泗州) · 수주(壽州)의 각장, 서하와의 경계에 열렸던 보안군(保案軍) 각장 등이 송나라 때의 대표적인 각장이었다.

고려와 거란 사이의 각장은 1005년(목종 8) 거란에 의해 보주(保州 : 후에 의주(義州)로 개칭됨)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이는 2차에 걸친 거란의 여진 정벌과 제1차 고려 침입 후에 성립된 것이다. 따라서, 보주의 각장 개설은 비록 경제적 무역을 그 근본 목적으로 했다 하더라도, 고려와 여진에 대한 정치 · 외교적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고 평가된다. 그런데 이때의 각장은 개설 5년 만에 일어난 거란의 제2차 고려 침입으로 인해 고려와 거란의 평화 관계가 종식되면서 폐지되었다. 따라서, 보주의 각장을 통한 양국의 교역은 그리 활발하게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고려 선종 초에 거란은 압록강 연안에 각장을 재개하려 계획하고 이를 고려에 강요하였다. 고려는 거란의 각장 재개 계획이 당시 강동지역(江東地域)에 거주하고 있던 여진족에 대한 고려의 기미권(羈縻權: 지배권)에 위협을 가해 고려와 여진의 경제 · 군사적 유대 관계를 차단하려는 정치적 목적에서 제기된 것이라고 의심해, 1086년(선종 3) 한영(韓瑩)을 고주사(告奏使)로 보내 그 재개 계획의 철회를 요구했고, 2년 후 거란으로부터 이를 중지한다는 확약을 받았다. 결국, 보주의 각장이 폐지된 이후 양국의 교역은 사신의 왕래에 따른 협대무역(夾帶貿易)과 국경 지역에서의 주7에만 의존하게 되었다. 당시 각장 무역을 포함한 양국의 각종 무역에서는, 고려의 금 · 은 · 동 · 종이 · 먹 · 응골(鷹鶻) · 포백류와 공예품 등이 수출품으로, 거란의 주3 · 단사(丹絲)와 양을 비롯한 가축류가 주된 수입품으로 교역되었다.

한편, 고려와 여진 사이의 각장은 서북면으로는 예종 때 의주 · 정주(靜州)에, 동북면으로는 고려의 정주(定州: 지금의 함경남도 정평)와 여진의 청주(靑州 : 지금의 함경북도 북청) 지역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진과의 각장도 오래 지속되지는 않았는데, 이로 인해 여진의 반강제적 호시 요구가 자주 제기되었다. 이때 이들 각장에서는 주로 여진의 보물과 고려의 미곡이 교역되었다.

변천 사항

동진국의 무장 주5가 1224년(고종 11)에 각장 설치를 요구하면서 “이전처럼 매매하자.”라고 한 것으로 볼 때 각장을 통한 교역이 국가의 흥망에 따라 중단된 적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자국의 물자 부족을 매매 또는 교환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은 꾸준히 요구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 각장의 형태는 조선 초 여진과의 사이에 무역소(貿易所)의 개설, 후기의 명나라 · 청나라와의 사이에 중강개시(中江開市)를 비롯한 각종의 개시가 설치된 것에서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태종실록(太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거란국지(契丹國志)』
『송사(宋史)』
『요사(遼史)』
『금사(金史)』

논문

김재만, 「거란사고」(『역사교육』 7·8, 역사교육연구회, 1963·1964)
김재만, 「거란의 산북·산남 경략사」(『진단학보』 22, 진단학회, 1961)
박한남, 「북방민족과의 관계」(『한국사』 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서병국, 「고려·송·요의 삼각무역고」(『백산학보』 15, 백산학회, 1973)
이미지, 「고려 선종대 각장 문제와 대요 관계」(『한국사학보』 14, 고려사학회, 2003)
이용범, 「여단무역고」(『동국사학』 3, 동국사학회, 1955)
丸龜金作, 「高麗と契丹·女眞との貿易關係」(『歷史學硏究』5-2, 1935)
주석
주1

두 나라 사이의 교역. 우리말샘

주2

1038년에 티베트계 탕구트족 탁발씨(拓跋氏)인 이원호가 간쑤(甘肅)와 내몽골의 서부에 세운 나라. 불교가 성하였고 서하 문자를 만드는 따위의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었으나, 1227년에 몽골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

두꺼운 비단과 얇은 비단. 우리말샘

주4

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 우리말샘

주5

중국 금나라 말기의 무장(武將)(?~1233). 동경(東京), 지금의 랴오양(遼陽)에 도읍하여 대진(大眞)을 열었다가 동진(東眞)이라 국호를 고쳤다. 두만강과 압록강의 여진족을 통합하고자 힘썼다. 우리말샘

주6

외국과 교역하던 무역 장소. 일본 상인과는 남쪽의 해안 포구에서, 여진 상인과는 두만강 유역에서 각각 교역하였다. 우리말샘

주7

법을 어기고 몰래 무역함. 또는 그런 무역.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