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전경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개심사터에 있는 고려전기에 건립된 석조 불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醴泉 開心寺址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200-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개심사터에 있는 고려전기에 건립된 석조 불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3m. 2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를 형성하고 그 정상에 상륜을 올려놓은 일반형 석탑으로, 원위치에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상 · 하층의 기단에 조식이 있고 탑신부를 받는 굄대도 연화대로 이루어져 일반형 탑과는 다른 특이한 면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명문이 있어 건조연대를 알 수 있어 주목된다.

하층기단 면석은 각 면에 3구씩의 안상(眼象)을 조각하고 그 안에 십이지상을 1구씩 돋을새김하였다. 그 형태는 수수인신(獸首人身: 머리는 짐승모양이고 몸은 사람모양)으로 법의를 걸치고 합장하였다.

배치는 남면 동쪽부터 오상(午像)이 시작되어 미상(未像) · 신상(申像)이 계속되고, 서면 · 북면 · 동면의 차례로 되어 있다. 갑석 상면은 약간의 경사가 표현되었으며, 활모양과 각형의 굄으로 상층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은 각 면 1매씩 모두 4매 판석으로 조립하여 양 우주를 모각하였으며, 탱주(撑柱: 받침기둥)로 양분하고 각 구내에 1구씩의 8부중상(八部衆像)을 돋을새김하였다.

갑석은 1매 판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면 중앙에 탑신부를 받치기 위한 앙련석(仰蓮石) 1매를 끼워 굄대로 삼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굄 판석의 삽입은 고려시대 수법의 특징으로 여러 유례를 볼 수 있다.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부가 별석(別石)으로 조성되었고 각층 탑신석에는 양 우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었으나, 초층 옥신석에만은 남면에 호형(戶形)이 조각되고 그 좌우에 인왕상(仁王像)을 배치하였다.

옥개석은 하면의 받침이 4단씩이고 전각부(轉角部)가 두툼한데, 반전이 경쾌하여 둔중감은 면하고 있다. 낙수면은 평박하고 합각선도 예리한데, 네 귀퉁이의 전각에는 양쪽에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있다.

상륜부는 현재 노반(露盤) 위에 복발(覆鉢: 바리때를 엎어 놓은 형상의 한 부분)이 놓여 있을 뿐인데, 노반에는 각 면에 안상이 1구씩 있으며, 복발에는 4면에 화형(花形)이 조식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굵직한 횡대(橫帶)가 있다.

상층기단 갑석의 뒷면에 새겨진 석탑기에 의하면, 이 탑은 1010년(현종 1)에 개심사에서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어 석탑 자체의 양식과도 부합된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4 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