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드름 (드름)

목차
국악
개념
민요 · 판소리 · 산조에 나타나는 경기지방의 독특한 선율. 경조 · 경제 · 경토리.
이칭
이칭
경조(京調), 경제(京制), 경토리
목차
정의
민요 · 판소리 · 산조에 나타나는 경기지방의 독특한 선율. 경조 · 경제 · 경토리.
내용

일명 ‘경조(京調)’·‘경제(京制)’ 또는 ‘경토리’라고도 한다.

경기민요의 토리로 음악적 특징을 달리하는 세 가지 형이 있다. ① 염계달(廉季達) 소리제로 「춘향가」중에서 ‘남원골 한량대목’과 같은 음악적 특징을 가진 형으로, 일반적으로 이 형을 가리킨다. 이를 ‘진(眞) 경드름’이라 한다. ② 염계달 소리제로 「수궁가」중에서 ‘토끼 욕하는 대목’에서 보이는 형으로 ‘반 경드름’이라는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③ 모흥갑(牟興甲) 소리제로 「춘향가」중에서 ‘날 다려가오’ 하는 대목에서 보이는 형으로 ‘동 강산제’로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유사 경드름인 강산제와 반 경드름을 경드름으로 취급하기도 하나 진 경드름만이 경드름이라 할 수 있다.

민요에 있어서는 「창부타령」·「도라지타령」·「닐리리아」·「양산도」·「방아타령」·「청춘가」 등과 서울 무가(巫歌)인 「대감타령」·「중타령(帝釋打令)」 등이 진 경드름이다. 판소리에서는 「춘향가」에서의 ‘남원골 한량’·‘사령들 돈 받는 대목’, 그리고 ‘이몽룡이 춘향을 달래는 대목’ 등이며, 산조에서는 가야금산조 이외의 산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음계의 구성은 서양음악의 계명으로 본다면 ‘솔·라·도·레·미’이며 하행 선율형, 즉 ‘미·레·도·라·솔’의 진행이 많다. ‘솔’은 요성(搖聲)하지 않으며 도-라-솔의 하행 종지형을 가진다. ‘도’에서 ‘솔’로 하행할 때 반드시 ‘라’를 경과하며 진행하는 선율이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다른 조의 선율과 구별되는 점이다. 판소리나 산조에서 중모리에서만 나타나는 점도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가야금산조』(이재숙, 한국국악학회, 1971)
「판소리 경드름에 관한 연구」(이보형, 『서낭당』창간호, 한국민속극연구회, 1971)
집필자
이재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