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만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한 충숙왕 측근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우대언
내용 요약

경사만은 고려 후기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한 충숙왕 측근 문신이다. 그는 충숙왕 환국 운동을 전개한 충숙왕 측근 세력이다. 충숙왕비 덕비(德妃)의 조카사위이기도 한 경사만은 1321년(충숙왕 8) 이후 좌부대언, 우대언을 역임하였다. 충숙왕이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김인연 등과 함께 왕의 환국을 요청하다가 심왕파의 미움을 받아 순군옥에 갇히기도 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한 충숙왕 측근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경유(慶綏)이고, 어머니는 고려 충렬왕 때 정승을 역임한 안동김씨 김방경(金方慶)의 딸이다. 부인은 주1를 역임한 청주정씨 정해(鄭瑎)의 딸이자 남양홍씨 홍규(洪奎)의 외손녀로, 충숙왕비 덕비(德妃) 홍씨가 그의 처이모인 셈이다.

경사만은 1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경복흥(慶復興)으로 공민왕 때 주2을 역임했다. 첫째 딸은 판사 전득량(田得良)과 혼인하였고, 둘째 딸은 청주한씨 밀직부사(密直副使) 한공의(韓公義)와, 셋째 딸은는 경주김씨 김성용(金成用)과, 넷째 딸은는 경주최씨 최현우(崔玄祐)와 혼인하였다.

주요 활동

경사만의 벼슬살이와 정치 활동은 1321년(충숙왕 8)경부터 확인된다. 이해 10월 인사에서 경사만은 주3으로 임용되는데, 이때 충숙왕은 원나라 수도 대도(大都)에 억류되어 있었다. 1320년(충숙왕 7) 12월에 원나라 영종(英宗) 황제는 충선왕(忠宣王)주4으로 유배보내고, 이듬해 4월 충숙왕을 원나라로 불러들여 입조(入朝)케 한 후 고려로 돌려보내지 않았다.

이 사이에 심왕(瀋王) 왕고(王暠)를 고려 국왕으로 옹립하려는 심왕파가 원나라 황실을 움직여, 충숙왕을 원나라 수도에 억류시키고 왕권을 정지시켜 충숙왕은 오랫동안 고려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었다.

이때 경사만은 충숙왕이 원나라에 머무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관리하면서, 충숙왕의 복위 환국 운동을 전개하였다. 1322년(충숙왕 9) 1월, 경사만은 호군(護軍) 김인연(金仁沇) 등과 함께 대령군(大寧君) 최유엄(崔有渰) 이하 신료들에게 왕의 복위와 환국을 요청하는 글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고, 탄원서가 완성되자 이를 김지경(金之鏡)과 조석견(趙石堅) 편에 부쳐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바치게 하였다.

이 탄원서는 심왕의 저지로 원나라 조정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같은 해 8월 심왕파 채하중(蔡河中)과 박인평(朴仁平)이 이 탄원서를 베끼고 와서 서명에 참여한 재상들을 힐책하는 한편, 경사만 · 김인연 · 김지경 등을 체포하여 순군옥(巡軍獄)에 가두었다. 경사만은 충숙왕비 덕비(德妃)의 명으로 같은 해 10월 석방되지만, 한동안 복직되지 못하다가, 충숙왕이 억류에서 풀려나 왕위를 회복하자 1324년(충숙왕 11) 4월 주5으로 복직하였다.

경사만은 충숙왕비 덕비의 조카사위라는 혈연 관계를 이용해 궁중에 자주 출입하였고, 이 때문에 환관과 다름없다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사망할 때 장면도 극적이어서, 마니산 참성(塹城)에서 주6를 지내는데 하늘에서 “경대언(慶代言)은 불행히 단명하리라”고 외치는 소리를 듣고 얼마 안 되어 죽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청주경씨족보(淸州慶氏族譜)』

논문

이명미, 「고려국왕의 몽골 입조양상과 국왕권의 존재양태」(『한국중세사연구』 46, 한국중세사학회, 2016)
이정신, 「충선왕의 요동회복 의지와 고려왕 · 심왕의 분리 임명」(『인물사연구』 21, 한국인물사연구소, 2014)
김광철, 「14세기초 원의 정국동향과 충선왕의 토번 유배」(『한국중세사연구』 3, 한국중세사학회, 1996)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문하부ㆍ첨의부ㆍ도첨의사사ㆍ도첨의부에 둔 정이품 벼슬. 시중(侍中) 또는 정승의 다음 서열이다. 충렬왕 1년(1275)에 첨의부를 두면서 평장사를 고친 것으로, 24년(1298)에 없앴다가 곧 회복하여 34년(1308)에 중호(中護)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둔 문하부의 으뜸 벼슬. 공민왕 5년(1356)에 우의정을 고친 것으로, 11년에 우정승, 12년에 우시중으로 고치고 창왕 때 다시 이 이름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한 정삼품 벼슬. 충선왕 2년(1310)에 좌부승지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4

중국 당나라ㆍ송나라 때에, ‘티베트족’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5

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한 정삼품 벼슬. 우승선을 고친 것으로, 충선왕 원년(1309)에 우승지로 고쳤다가 2년(1310)에 다시 이것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6

무속 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