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석자지문 ()

목차
관련 정보
경석자지문
경석자지문
언어·문자
문헌
이송서가 동문사내의 계모임인 석자회에서 만든 계안을 풀이하여 1882년에 간행한 언해서.
이칭
이칭
번석자문(飜惜字文)
목차
정의
이송서가 동문사내의 계모임인 석자회에서 만든 계안을 풀이하여 1882년에 간행한 언해서.
내용

1책. 활자본. 1882년(고종 19) 경군문에서 간행하였다. ‘경석자지문’이란 문자 그대로 ‘글자 쓴 종이를 공경하여 아끼는 글’로서 관성교(關聖敎)의 정신에 입각하여 글자 쓴 종이의 사용에 관련된 여러 응험(應驗)들을 들어 책을 아낄 것을 권유하고 있다.

한문으로 쓴 ‘석자회서문(惜字會序文)’ 1장과 순한글로 번역한 본문 9장으로 되어 있다. 표지의 책이름은 ‘번석자문(飜惜字文)’이며, 내제(內題)와 판심제(版心題)는 ‘경셕ᄌᆞ지문‘이다.

이 책에 나타난 표기법상의 특징은 어두의 된소리 표기에 ㅅ계 합용병서(合用並書)를 주로 썼으며, ㅄ·ㅶ에 한정되기는 하나, 간혹 ㅂ계 합용병서도 사용했다는 것과 어간말(語幹末) 자음군(子音群) 중 ㄺ과 ㄼ이 분철(分綴)표기되어 있다는 것(즛 밟으며, 닑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운현상으로는 ‘지’나 ‘치’ 앞에서 ㄴ이 첨가되는 현상과 치찰음(齒擦音) 뒤에서의 전설고모음화(前舌高母音化)현상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ㄷ구개음화만 보이고 ㄱ·ㅎ구개음화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아 『경석자지문』은 중앙어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어체라기보다는 문어체에 가깝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86년태학사(太學社)에서 영인하였다.

참고문헌

『경석자지문(敬惜字紙文)』(홍윤표, 『한국어학자료총서』2, 태학사,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