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음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두 조음기관의 간격을 좁히고 그 사이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스쳐나가게 발음하는 소리.
목차
정의
두 조음기관의 간격을 좁히고 그 사이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스쳐나가게 발음하는 소리.
내용

조음 위치에 따라 일반음성학에서는 양순마찰음 〔ɸ, β〕, 순치마찰음 〔f, v〕, 치간마찰음 〔θ, ð〕, 치경마찰음 〔s, z〕, 구개치경마찰음 〔ʃ, Ʒ〕, 경구개마찰음 〔ç, j〕, 연구개마찰음 〔x, ɣ〕, 성문마찰음 〔h, ɦ〕등으로 각각 무성/유성의 짝으로 나눈다.

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마찰음이 쓰인다. ‘후미지다, 훌륭하다’ 등의 어두 ‘ㅎ’이 양순마찰음 [ɸ]로 수의적으로 나타나고, ‘두부, 우비’ 등의 ‘ㅂ’이 수의적으로 [β]로 나타난다. 15세기에는 ‘사ᄫᅵ, ○ᄫᅳ니, 더ᄫᅥ, 더ᄫᅱ’ 등의 ‘ㅸ’이 〔β〕로 쓰인 바 있다. 〔ɸ〕는 /ㅎ/의 수의적인 주1이기 때문에, 현대국어에서 양순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순치마찰음은 국어에서 쓰이지 않으며, 치조마찰음은 [s, s’]가 음성적으로나 음운론적으로 쓰이고 있다. [z]는 15, 16세기에 ‘ㅿ’로 표기되어 쓰인 바 있다. 구개치경마찰음으로는 ‘시원하다, 심심하다, 시커멓다’의 ‘시’와 ‘하셔서’의 ‘셔’ 등에서 구개음화된 ‘ㅅ 〔ʃ〕’가 쓰이고, 경구개마찰음으로는 ‘힘, 혀, 효자’ 등의 어두 ‘ㅎ’이 음성적으로 구개음화된 〔○〕이 쓰이고 있다. 각각 /ㅅ/과 /ㅎ/의 변이음이다.

연구개마찰음 [x, ɣ]는 국어에서 음성적으로 그것도 수의적으로 실현되는데, ‘흙, 흐리다’ 등의 어두 ‘ㅎ’이 [x]로 실현되기도 하고, ‘고구마, 우기다’ 등의 어중 ‘ㄱ’이 유성의 [ɣ]로 수의적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이는 각각 /ㅎ/과 /ㄱ/의 변이음이어서, 연구개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국어에 존재하지 않는다.

성문마찰음은 어두에서 [h]로 실현되고 유성음 사이에서 [ɦ]로 실현되는데, 모두 /ㅎ/의 변이음이다. 유성의 〔ç〕는 ‘놓아, 앓아, 많이’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흔히 그것을 아예 탈락시키고 발음하여 이를 표준발음으로 삼고 있다. 현대국어에서 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ㅅ/, /ㅆ/과 /ㅎ/ 셋뿐인데, 모두 음절의 첫소리로만 쓰이고 음절의 끝소리로는 쓰이지 않는다.

참고문헌

『국어음운사연구(國語音韻史硏究)』(이기문,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72 ; 탑출판사, 1977)
『국어음운학(國語音韻學)』(허웅, 정음사, 1965)
「동시조음규칙과 자음체계」(이병근, 『말소리』1, 1980)
주석
주1

같은 음소에 포괄되는 몇 개의 구체적인 음이 서로 구별되는 음의 특징을 지니고 있을 때의 음. 예를 들어, ‘감기’의 두 ‘ㄱ’ 소리는 같은 문자로 표기하나 실제로는 앞의 ㄱ은 [k], 뒤의 것은 [g]와 같이 서로 다른 음가를 가지는데, 한 음운으로 묶인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음성을 그 음운에 상대하여 이른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