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음화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어떤 음성이나 음운이 유성음으로 실현되는 공시적인 음성현상 또는 음운현상.
목차
정의
어떤 음성이나 음운이 유성음으로 실현되는 공시적인 음성현상 또는 음운현상.
내용

현대국어에는 유성음무성음과의 음운론적 대립이 없고 양자 사이의 음성적 차이만 있기 때문에 유성음과 무성음의 각각의 짝은 해당되는 음운의 이음(異音, 또는 變異音)으로만 기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떤 음운이 환경에 따라 유성음 또는 무성음으로 실현되는데, 유성음으로 실현되는 현상 또는 규칙을 유성음화라 한다.

현대국어에서 모음, 비음(ㅁ, ㄴ, ㅇ)유음(ㄹ)은 정의적 표현의 경우 이외에는 흔히 모두 유성음으로만 실현되고, 순수 자음 중에서 ‘ㅅ’과 격음(ㅊ, ㅋ, ㅌ, ㅍ)경음(ㄲ, ㄸ, ㅃ, ㅆ, ㅉ)은 무성음으로 실현되는데, 나머지 순수자음들, 즉 ‘ㄱ, ㄷ, ㅂ, ㅈ, ㅎ’은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그 밖에는 무성음으로 실현되어 이 경우에 유성음화규칙이 이음규칙으로서 적용된다.

이를테면 ‘ㄱ, ㄷ, ㅂ, ㅈ, ㅎ’은 모음 사이에서, 또는 비음 및 유음과 모음 사이에서 [g, d, b, ʤ, ɦ]로 각각 실현된다(가게, 사다리, 도배, 사자, 표현, 감기, 영동, 담배, 천지, 감히 등). 이 중에서 ‘ㅎ’은 받침 외의 경우 유성음 사이에서 흔히 탈락하는 것으로 『표준어규정』의 표준발음법에서 규정하고 있다(낳은[나은], 쌓이다[싸이다], 많아[마ː 나], 싫어도[시러도] 등).

『훈민정음』에서는 유성음을 중국음운학의 용어에 따라 주1으로 분류하였는데, ‘ㆁ, ㄴ, ㅁ, ㅿ, ㅇ, ㄹ’ 이외에 ‘ㅸ’이 더 있었다. 현대국어에는 없는 ‘ㅿ, ㅸ’은 각각 /z/, /β/에 해당되는데, 이들은 특히 용언 어간말 위치에서 무성음 앞에서 무성음화하였다. 예컨대, ‘지ᅀᅥ, 지ᅀᅳ면∼짓고, 짓더니’라든가 ‘더ᄫᅥ, 더ᄫᅳ면∼덥고, 덥다’ 등과 같이 교체하는 경우이다.

이는 음성현상으로서의 이음규칙이 아니라 주2로서의 음운규칙에 따른 것이다. ‘ㅅ’과 ‘ᅀᅠ’ 그리고 ‘ㅂ’과 ‘○’은 당시에 음운론적 대립을 지닌 각각의 음운으로서의 자격이 있었기 때문이다. ‘플〔草〕+서리〔中〕>프ᅀᅥ리, 한+숨>한ᅀᅮᆷ〔嘆〕’ 등이라든가 ‘ᄀᆞᄅᆞ〔粉〕+비〔雨〕>ᄀᆞᄅᆞᄫᅵ, 대〔竹〕+밭〔田〕>대ᄫᅡᆮ’ 같은 예들은 ‘ㅅ>ᅀᅠ’ 또는 ‘ㅂ>ㅸ’ 같은 유성음화를 거친 것이다.

참고문헌

『개고신판(改稿新版) 국어음운학』(허웅, 정음사, 1965)
「국어음운사연구(國語音韻史硏究)」(이기문, 『한국문화연구총서』 13, 1972;탑출판사, 1977)
「순음고(脣音攷)」(이숭녕, 『서울대학교논문집』 1, 1954)
「ㅿ음고(音攷)」(이숭녕, 『서울대학교논문집』 3, 1956)
「십오세기 국어의 활용어간(語幹)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안병희, 『국어연구』 7, 1959 ; 탑출판사, 1978)
주석
주1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 가운데 ‘ㆁ’, ‘ㄴ’, ‘ㅁ’, ‘ㅇ’, ‘ㄹ’, ‘ㅿ’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현대 음성학의 유성 자음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2

동일한 어근에 속하는 형태소가 음성적 환경의 차이에 의하여 다른 음운으로 교체되는 일. ‘듣다[聞]’가 ‘들어’, ‘들으니’ 따위로 활용할 때 ‘ㄷ’이 ‘ㄹ’로 교체되는 것 따위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