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음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 언어학용어.
내용 요약

아음은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 오음의 하나이다. 초성 오음에는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이 있다. 아음(牙音)은 중국 음운학에서 들여온 용어로 『훈민정음』 이후로 쓰여 왔다. 아음에는 ‘ㄱ, ㄲ, ㅋ, ㆁ’이 있는데, 현대국어의 연구개음에 해당한다. 아음의 ‘ㄱ’은 전청, ‘ㅋ’은 차청, ‘ㄲ’은 전탁, ‘ㆁ’은 불청불탁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데 현대국어의 평음, 격음, 경음, 유성음에 해당한다. 중세국어에서 ‘ㄲ’은 주로 한자음으로 쓰였고, 종성으로는 8종성 규정에 따라 ‘ㄱ, ㆁ’만 쓰였다. ‘ㄱ’은 ‘ㅺ,ㅴ’과 같이 자음군을 이룰 수 있었으며, 한자어의 종성 ‘ㆁ’ 다음에서사잇소리로도 쓰이기도 하였다.

목차
정의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 언어학용어.
개설

현대 음성학 · 음운론에서 이르는 연구개음(軟口蓋音, velar)에 해당되는 자음으로서 중국음운학으로부터 받아들여 『훈민정음』 이후로 쓰여온 초성(初聲) 오음(五音) 분류의 하나이다.

내용

아음에는 ‘ㄱ, (ㄲ), ㅋ, ㆁ’이 있는데, 『훈민정음』에 “ㄱ은 어금닛소리니 군(君)자 처음 펴어나는 소리 같으니(ㄱ牙音如君字初發聲) 나란히 쓰면 뀨ᇢ(虯)자 처음 펴어나는 소리 같으니라(竝書如虯字初發聲).”라고 하고서, “ㅋ은 어금닛소리니 쾌(快)자 처음 펴어나는 소리 같으니라(ㅋ牙音如快字初發聲).”라고 하였으며, “ㆁ은 어금닛소리니 ᅌᅥᆸ(業)자 처음 펴어나는 소리 같으니라(ㆁ牙音如業字初發聲).”라고 하여 한자음의 예를 들어 보이고 있다.

자모체계에서 아음이 맨 처음에 온 것은 아음이 오음 분류(아 · 설 · 순 · 치 · 후)의 첫째 순서가 되었던 데에 연유한다.

『훈민정음』 제자해에서는 ‘ㄱ’에 대하여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다(象舌根閉喉之形).”라 하고, ‘ㆁ’에 대하여는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아서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온다(舌根閉喉聲氣出鼻).”라고 하여 아음이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舌根閉喉)’ 연구개음에 해당됨을 언급하였다.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가 좀 세게 나서 ‘ㄱ’에 획을 더한 것이라 하였는데, ‘ㄱ’은 나무 바탕의 생김(ㄱ木之成質)이고, ‘ㅋ’은 나무의 무성한 자람 (ㅋ木之盛長)이며, ‘ㄲ’은 나무의 늙고 단단함(ㄲ木之老壯)이라고 나무에 비유하였다. 한편, ‘ㄱ’은 주1, ‘ㅋ’은 주2, ‘ㄲ’은 주3에 속하고, ‘ㆁ’은 주4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는데, 각각 주5 · 주6 · 주7주8에 해당된다.

쓰임

아음은 모두 음절의 첫소리, 즉 초성으로 쓰일 수 있어서 ‘감(枾), ᄀᆞᆯ(갈대, 蘆), 우케(겉벼, 未舂稻), 코ᇰ(大頭), 러ᅌᅮᆯ(너구리, 獺), 서ᅌᅦ(流澌)’와 같은 예들을 『훈민정음』 용자례(用字例)에서 제시하였는데, 다만 ‘ㄲ’은 주로 한자음으로 쓰였던 것이다.

음절의 끝소리, 즉 종성으로는 ‘닥(楮), 독(甕), 굼버ᇰ(굼벵이, 蠐螬), 올차ᇰ(올챙이, 蝌蚪)’과 같은 용자례를 들어 ㄱ과 ㆁ의 쓰임을 밝혔으나, ‘ㄲ, ㅋ’은 종성으로 쓰이지 않게 되어 있었다. 이는 ‘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라는 종성규정에 따른 것이었다.

‘ㄱ’은 ‘ᄒᆞᆰ(土), 낛(釣), ᄃᆞᇌᄣᅢ(酉時)’와 같이 주9로 자음군(子音群)을 이루어 쓰이기도 하였는데, 초성에서도 ‘ㅺ,ㅴ’과 같은 합용병서가 쓰이기도 하였다. ‘ㄱ’은 15세기 중에 초성 · 종성 이외에 사잇소리〔間音〕로도 쓰인 일이 있다.

『훈민정음』 언해본의 ‘穰ᅀᅣᇰㄱ字ᄍᆞᆼ, 洪ᅘᅩᆼㄱ字ᄍᆞᆼ, 乃냉終쥬ᇰㄱ소리’와 『용비어천가』의 ‘兄ㄱᄠᅳ디, 平生ㄱᄠᅳᆮ, 遮陽ㄱ세쥐’ 및 『석보상절』의 ‘種種ㄱ香, 琰魔王ㄱ使者, 阿闍世王ㄱ손ᄃᆡ, 王ㄱᄭᅮ메’, 그리고 『월인석보』의 ‘王ㄱ出令, 甁ㄱ소배, 前生ㄱ罪業’ 등과 같이 한자어의 종성 ‘ㆁ’ 다음에서 ‘ㄱ’이 사잇소리로 쓰였다.

참고문헌

『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연구』(강신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
『국어사개설』(이기문, 민중서관, 1972.;탑출판사, 1977)
「훈민정음의 초·종성체계」(이병근, 『훈민정음의 이해』, 이환묵 외편, 한신문화사, 1988)
주석
주1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 가운데 ‘ㄱ’, ‘ㄷ’, ‘ㅂ’, ‘ㅅ’, ‘ㅈ’, ‘ㆆ’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현대 음성학의 무성 자음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2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 가운데 ‘ㅋ’, ‘ㅌ’, ‘ㅍ’, ‘ㅊ’, ‘ㅎ’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 가운데 ‘ㄲ’, ‘ㄸ’, ‘ㅃ’, ‘ㅆ’, ‘ㅉ’, ‘ㆅ’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훈민정음의 17초성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동국정운의 23자모에는 포함된다. 우리말샘

주4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 가운데 ‘ㆁ’, ‘ㄴ’, ‘ㅁ’, ‘ㅇ’, ‘ㄹ’, ‘ㅿ’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현대 음성학의 유성 자음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5

구강 내부의 기압 및 발음 기관의 긴장도가 낮아 약하게 파열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숨이 거세게 나오는 자음. 국어의 ‘ㅊ’, ‘ㅋ’, ‘ㅌ’, ‘ㅍ’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7

후두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면서 기식이 거의 없이 내는 자음. ‘ㄲ’, ‘ㄸ’, ‘ㅃ’, ‘ㅆ’, ‘ㅉ’ 따위의 소리이다. 우리말샘

주8

발음할 때, 목청이 떨려 울리는 소리. 국어의 모든 모음이 이에 속하며, 자음 가운데에는 ‘ㄴ’, ‘ㄹ’, ‘ㅁ’, ‘ㅇ’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서로 다른 자음을 가로로 나란히 붙여 쓰는 일. 또는 그렇게 만든 글자. ‘ㄳ’, ‘ㄵ’, ‘ㄺ’, ‘ㄻ’, ‘ㄿ’, ‘ㄶ’, ‘ㅀ’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