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음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 언어학용어.
목차
정의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 언어학용어.
내용

『훈민정음』에서는 ‘ㄷ·ㄸ·ㅌ·ㄴ’이 이에 속하는데, ‘斗·覃·呑·那’의 초성에 각각 해당된다.

기본자로 제시한 ‘ㄴ’은 상설부상악지형(象舌附上一腭之形 :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형상을 본뜸.)이라 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설음은 윗잇몸에 혀를 붙여내는 소리가 된다. 중국음운학의 용어를 수용한 것이다.

설음 ‘ㄷ·ㄸ·ㅌ·ㄴ’을 조음방법에 따라 각각 전청(全淸)·전탁(全濁)·차청(次淸)·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분류하고 있다.

『훈민정음』의 용자례(用字例)에는 초성으로서 ‘뒤[茅]·담[墻]·고티[繭]·두텁[蟾蜍]’과 ‘노로[獐]·납[猿]’과 같이 ‘ㄷ·ㅌ·ㄴ’의 예만 제시되었고, ‘ㄸ’의 예시는 없다. ‘ㄸ’은 한자음 표기에 주로 쓰였다.

종성의 설음으로는 전청의 ‘ㄷ’과 불청불탁의 ‘ㄴ’만이 쓰였는데, 이는 『훈민정음』의 “然ㄱㅇ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라는 소위 8종성법 규정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용자례에는 ‘갇[笠]·싣[楓]’과 ‘신[履]·반되[螢]’와 같은 종성 ‘ㄷ·ㄴ’의 예시만 있고 ‘ㅌ’의 예시는 없다. 어간말의 ‘ㅌ’은 휴지나 자음 앞에서 ‘밭→받(도)’과 같이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에서와는 달리 음절말 위치에서 설음 ‘ㄷ’은 치음 ‘ㅅ’과 철저히 구별되었다.

15세기에는 ‘걷너→건너[渡]’라든가 ‘ᄃᆞᆮ니-→ᄃᆞᆫ니-[行]’와 같이 설음 ‘ㄷ’은 비음 앞에서 ‘ㄴ’으로 역행동화하기도 하였으나, 치음의 ‘ㅅ’은 이런 동화를 입지 않았다. ‘ㄹ’은 『훈민정음』에서 반설음(半舌音)으로 따로 분류되었다.

참고문헌

『국어음운사연구(國語音韻史硏究)』(이기문,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72 ; 탑출판사, 1977)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초종성체계(初終聲體系)」(이병근, 『훈민정음의 이해』, 1988)
「설음고(舌音考)」(박태권, 『부산대학교15주년기념논문집』, 1961)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