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음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
목차
정의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
내용

혀끝을 윗잇몸에 대어 발음하는 언어음을 치음과 구별하여 치조음(齒槽音)이라 부르는데, 때로 이 둘을 구별하지 않고 묶어서 넓게 치음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현대국어의 ‘ㄷ, ㄸ, ㅌ’과 ‘ㄴ’의 음은 엄격히 말해서 혀끝을 윗니의 뒤쪽에 대고서 파열시키는 치음들이나, ‘ㅅ, ㅆ’은 혀끝을 아랫니의 뒤쪽에 대고 동시에 혀의 앞부분을 윗잇몸에 대면서 마찰시키는 치조음이다.

현대어에서 ‘ㄷ, ㄸ, ㅌ’과 ‘ㄴ’은 어두와 어중에서 실현되고 ‘ㅌ’과 ‘ㄸ’은 어말에서는 실현되지 않는다.

‘ㅅ’도 어두와 어중에서만 실현되고 어말 또는 음절말에 쓰인 ‘ㅅ’은 ‘ㄷ’으로 발음되어 폐쇄음화를 일으킴으로써 이 위치에서는 폐쇄음과 마찰음과의 대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치음이라는 명칭은 본래 중국음운학의 용어였던 바, 『훈민정음』에서는 ‘ㅅ, ㅆ, ㅈ, ㅉ, ㅊ’을 묶어 치음(닛소리)으로 분류하였으며, ‘ㄷ, ㄸ, ㅌ’과 ‘ㄴ’은 설음(舌音, 혓소리)으로 따로 분류하였다.

기본글자인 ‘ㅅ’은 이의 모양을 본떴다(齒音ㅅ象齒形)고 하였는데, 이로부터 획을 더하든가(加畫) 나란히 써서(並書) ‘ㅈ, ㅊ’과 ‘ㅆ,ㅉ’ 등의 글자를 만들었다고 하였다.

획을 더해간 ‘ㅅ, ㅈ, ㅊ’의 순서는 소리의 세기(勵)에 따른 것이었다. 이들 치음들은 어두와 어중에서 모두 쓰였으며, 어말에서는 ‘ㅅ, ㅈ, ㅊ, (ㅿ)’이 주로 ‘ㅅ’으로 쓰이면서 설음인 ‘ㄷ’과 구별되었던 것이다.

치음(치조음)이던 ‘ㅈ, ㅉ, ㅊ’이 ‘ㅅ, ㅆ’과는 달리 구개음(口蓋音)으로 변화를 겪었고, 이 구개음의 형성으로 ‘ㄷ, ㄸ, ㅌ’이 ‘ㅈ, ㅉ, ㅊ’으로 실현되는 구개음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한편, 중세어 단계에서의 어말에서의 ‘ㅅ’과 ‘ㄷ’과의 구별도 근대국어를 거치면서 표기와는 달리 음운론적으로는 없어져 현대어에 이르게 되었다. 그 결과 음절말에서 실현되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로 한정되었다.

참고문헌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초·종성체계(初·終聲體系)」(이병근,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88)
「중세국어(中世國語) 음운론(音韻論)의 제문제(諸問題)」(이기문, 『진단학보』32, 1969)
「치음고(齒音攷)」(허웅, 『국어국문학』27, 1964)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