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순모음화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양순음 뒤에 오는 비원순모음 'ㅡ(ㆍ)'가 원순모음 ‘ㅜ(ㅗ)’로 바뀌는 음운현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양순음 뒤에 오는 비원순모음 'ㅡ(ㆍ)'가 원순모음 ‘ㅜ(ㅗ)’로 바뀌는 음운현상.
내용

중세국어의 ‘믈[水], 블[火], 플[草], ᄲᅳᆯ[角]’ 등이 근대국어, 특히 17세기 말엽 이후로 ‘물, 불, 풀, ᄲᅮᆯ(뿔)’ 등으로 원순모음화의 적용을 받았다.

중세국어에서는 ‘믈[水]’과 ‘물[群]’처럼 양순음 아래에서 ‘ㅡ’와 ‘ㅜ’가 대립하였는데, 이 원순모음화가 일어난 이후로는 그러한 대립이 없어지고 ‘무, 부, 푸, 뿌’로 통일되었다. 현대국어에서 ‘므, 브, 프, 쁘’ 등이 한 단어 안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바로 원순모음화의 결과이다.

‘푸다’를 ‘푸고, 푸지, 푸면, 퍼, 퍼라’ 등의 활용 때문에 흔히‘우-변칙활용용언’이라 하는 것은 ‘프고, 프디, 프면, 퍼, 퍼라’ 등의 활용형식에서 ‘프―>푸―’의 원순모음화가 실현된 결과에서 온 것이다.

이러한 원순모음화는 ‘ㅡ’와 ‘ㅜ’가 원순성에 의한 대립의 짝을 이루고 있어서 원순적 기능을 지닌 양순음에 의하여 비원순모음 ‘ㅡ’가 원순모음 ‘ㅜ’로 바뀐 것이므로 일종의 동화(同化)인 것이다.

현대맞춤법으로는 ‘아프다, 고프다, 기쁘다, 바쁘다’ 등과 같이 ‘―프―, ―쁘―’가 존재하지만 이들도 구어(口語)에서는 ‘푸다, 퍼’와 같이 ‘아푸다, 아파’ 등으로 실현되고 있다.

용언활용의 경우에는 ‘남+은→나믄∼나문, 입+은→이븐∼이분, 깊+은→기픈∼기푼’ 등과 같이 수의적으로 원순모음화가 실현되는데, 이때에는 약한 원순성을 띤다. 이상의 ‘ㅡ>ㅜ’로의 원순모음화는 전국적으로 일어난 현상이다.

양순음 다음에서 비원순모음인 ‘ · ’가 그와 대립의 짝이었던 원순모음 ‘ㅗ’로 바뀐 또 하나의 원순모음화가 방언에서 일어나기도 하였다.

역사적으로 보아 ‘ᄆᆞ[馬], ᄆᆞᆰ다[淸], ᄇᆞᆲ다[踏], ᄇᆞᆯ(ㅎ)(臂), ᄲᆞᆯ다[吸], ᄑᆞᆺ(○)[小豆]’ 등이 여러 남부방언(서남방언 및 동남방언의 여러 하위방언)에서 ‘몰, 몱다, 볿다, 폴, 뽈다, 폿’ 등에 대응되는 것이 바로 그 예들이다.

‘ · ’는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제1음절에서 ‘ㅏ’와 흔히 합류되었는데, ‘ · ’의 원순모음화를 입은 방언에서는 이 원순모음화가 먼저 일어나 ‘ㅗ’로 굳어진 다음에야 나머지 ‘ · ’가 ‘ㅏ’로 합류된 것이다.

‘ · ’의 원순모음화는 어휘에 따라 그 분포가 다른데, ‘ᄑᆞ리>포리, ᄑᆞᆺ>폿’ 등이 가장 넓은 분포를 가진 예들이다.

참고문헌

『개정국어사개설(改訂國語史槪說)』(이기문, 민중서관, 1972;탑출판사, 1977)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최전승, 한신문화사, 1986)
「19세기 후기국어의 모음체계」(이병근, 『학술원논문집』 9, 1970)
「원순모음화현상(圓脣母音化現象)에 관한 연구」(남광우, 『국어학』 2, 1974)
「전라도방언 음운론(音韻論)의 연구방향설정을 위하여」(김완진, 『어학』 2, 전북대학교 어학연구소, 1975)
「남부방언의 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와 모음체계」(이승재, 『관악어문연구』 2, 1977)
「국어의 원순모음화 현상」(오종갑, 『영남어문학』 14, 1987)
「‘ᄋᆞ·오·으·우’의 대립관계와 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백두현, 『국어학』 17, 1988)
집필자
이병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