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본 (말본)

목차
관련 정보
조선말본
조선말본
언어·문자
문헌
새글집에서 김두봉이 주시경의 『국어문법』을 바탕으로 기술하여 1916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목차
정의
새글집에서 김두봉이 주시경의 『국어문법』을 바탕으로 기술하여 1916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내용

신식 활자본. 총 228면. 1916년에 새글집[新文館]에서 간행하였다. 대체로 서울말을 바탕으로 하여 ‘맨조선말’로 썼는데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한자를 옆에 달기도 하였다.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의 대역사전(對譯辭典)인 『신자전(新字典)』의 편찬에 이어 주시경(周時經)·권덕규(權德奎)·이규영(李奎榮)과 함께 국어사전인 『말모이』를 편찬하다가 1914년 주시경이 죽자 그 사전의 바탕이 되는 문법책으로 만든 것이 곧 이 『조선말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전반적인 서술체재와 내용은 그의 스승 주시경의 『국어문법(國語文法)』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세부사항의 기술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지니고 있다. ‘소리갈’에 있어서는 생리음성학에 더 가까워지고 구체음운론으로서의 공시음운론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씨갈’에서는 ‘임씨·얻씨·움씨·겻씨·잇씨·맺씨·언씨·억씨·늑씨’와 같이 명칭상의 차이까지 있게 되었다. 그리고 ‘월갈’에서는 ‘속뜻, 숨은 뜻’이 ‘숨어있―’으로 통일되어 생략을 뜻하게 되었으며, 또 중주어(重主語)에 대하여서는 ‘큰 임자’와 ‘작은 임자’로 규정짓는 등의 많은 차이를 보인다.

상해 새글집에서 펴낸 수정·증보판인 『깁더조선말본』(1922)도 초판과 마찬가지로 ‘소리, 씨, 월’의 세 부분으로 짜여 있는데, 이 밖에 부록으로 가로풀어쓰기 등을 제시한 ‘좋을글’, 속기법을 제안한 ‘날젹’, 그리고 표준어 제정의 여러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표준말’이 더 붙어 있다. 개정판도 역시 『말모이글본』 대신으로 낸 것인데, 초판에 비하여 국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거니와, 특히 한자어로 된 용어를 피하였다.

참고문헌

『국어문법연구(國語文法硏究) 그 어제와 오늘』(고영근, 탑출판사, 1983)
『깁더 조선말본』(김민수 외, 『역대한국문법대계』제1부, 제8책, 탑출판사, 1983)
「‘말의 소리’에서 ‘조선말본’으로」(이병근, 『연암현평효박사회갑기념논총』, 1980)
「최초(最初)의 국어사전(國語辭典) ‘말모이’」(이병근, 『언어』2-1,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