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음화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비음에 의하여 인접한 음이 비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
목차
정의
비음에 의하여 인접한 음이 비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
내용

음성적 층위에서의 이음화규칙으로서의 비음화와 음운적 층위에서의 음운 대치(또는 자질변경규칙)로서의 비음화가 있다.

‘상(床)’을 발음할 때에 모음 ‘ㅏ’가 후속의 ‘ㅇ’의 영향을 받아 비음이 약하게 섞인 음으로 실현되는데 음성적인 상사(相似)를 보이는데, 이는 음성적 층위에서의 비음화이다.

‘상+이’ 같은 경우에는 ‘이’까지도 음성적으로 비음화된다. 동남방언 및 그 영향권의 방언에서 더욱 강하게 비음화된다.

음운론적 층위에서의 비음화는 ‘밥+만→밤만, 밭+만→(받만→)반만, 박+만→방만’과 같이 순수자음(장애음)이 비음에 의해서 역행동화되는 자음동화의 일종이다. 전통적으로는 자음접변에 속해 있던 것이다.

국어에서 비음화는 체언의 곡용에서뿐만 아니라 ‘입+는→임는, 있+는→ (읻는→)인는, 익+는→잉는’과 같이 용언의 활용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순수자음들은 자음 앞에서, 즉 음절말 위치에서 ‘ㅂ, ㄷ, ㄱ’으로 실현되는데 이들이 후속되는 비음에 의해서 동일한 조음위치의 ‘ㅁ, ㄴ, ㅇ’으로 각각 동기관적(同器官的)으로 비음화한다.

결국, ‘ㄹ’을 제외하면 비음 앞에는 비음만이 결합된다. 비음이 순수자음보다 동화력이 크기 때문이다.

겹받침의 경우에는 ‘없+는→업는→엄는, 밟+는→밥는→밤는, 읽+는→익는→잉는’ 등과 같이 우선 자음 하나를 탈락시키는 자음군단순화(子音群單純化)가 일어나고 이어서 비음화가 실현된다.

겹받침에 이미 비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앉+는→안는, 옮는→옴는’ 등과 같이 자음군단순화가 우선 일어나고 더 이상의 비음화는 실현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비음화는 ‘밥 먹는다, 책 읽는다’ 등과 같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도 일어나고 있어, 가장 강력한 동화현상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설음 ㄷ이 가장 먼저 비음화를 경험하고 음절말 위치에서 ‘ㅅ’과 ‘ㄷ’의 구별이 없어지면서 ‘ㅅ, ㅆ, ㅈ, ㅊ’ 등도 ‘ㄷ’으로의 대치를 거쳐 비음화한다.

참고문헌

『조선말본』(김두봉, 신문관, 1916)
『국어음운사연구』(이기문,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72:탑출판사, 1977)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이병근, 『이숭녕선생고희기념국어국문학논총』, 1977)
집필자
이병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