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노동리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대릉원 일원 중 봉황대 고분
경주 대릉원 일원 중 봉황대 고분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 대릉원 일원(慶州 大陵園 一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11년 07월 28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노동동 261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본래 1963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나 2011년 7월 28일에 경주노서리고분군, 경주황남리고분군, 경주황오리고분군, 경주인왕리고분군과 더불어 사적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재지정되었다.

경주노동리고분군 중에서 대표적인 금령총(金鈴塚) · 식리총(飾履塚)은 이미 발굴 조사되었으나, 봉황대고분(鳳凰臺古墳)은 아직 발굴조사가 실시되지 않았다.

금령총(127호분)은 봉황대 남쪽에 있는 지름 16m 정도의 소규모 원분(圓墳)으로서, 1924년 일본인 우메하라[梅原末治]에 의해 발굴되었다. 구조는 지하에 장방형의 구덩이를 판 뒤 바닥에 냇돌과 자갈을 깐 돌무지덧널무덤이다.

덧널 내부에서 금관 · 귀걸이 · 팔찌 · 허리띠 · 신발[銅履] · 쇠솥 · 옷칠그릇 · 유리그릇 ·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토기 중 배모양토기[船形土器]와 기마인물토기(騎馬人物土器)는 그 당시의 의복과 생활을 짐작케 해주는 좋은 자료이다.

이 고분은 분구(墳丘)의 크기가 소규모이지만 출토품이 화려하고 피장자가 착용한 장신구의 크기가 소형이며 순장(殉葬)의 흔적으로 보아 신라 왕자의 분묘로 추측되고 있다.

식리총(제126호분)은 1924년 우메하라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금령총의 동쪽에 있다. 봉토의 지름은 9m이며 지하에 덧널을 설치한 돌무지덧널무덤이다. 내부에서 귀걸이 · 유리옥의 가슴장식과 은제허리띠 · 은제팔찌 · 삼두환대도 · 쌍룡환대도(雙龍環大刀) · 금동제식리(金銅製飾履) · 말갖춤토기 · 옷칠그릇 등이 출토되었다.

금공예품 중 용봉문계 장식이 많은 점이 특징이다. 특히 식리는 우수작으로서 이것에 의하여 이 고분이 식리총으로 명명되었다.

의의와 평가

전체적으로 볼 때 노동리고분군은 노서리고분군과 함께 경주시내 평지에 분포하는 돌무지덧널무덤 중 비교적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慶州飾履塚古新羅墓の硏究」(馬目順一, 『古代探叢』, 1980)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梅原末治, 『大正13年度古蹟發掘調査報告』, 1932)
집필자
최종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