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부합록 ()

목차
관련 정보
곡부합록
곡부합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즉위년에, 재정 절약을 위해 중앙 각 관서와 군영의 보유 양곡 수를 조사하여 정리한 자료집.
이칭
이칭
국곡총록(國穀總錄)
목차
정의
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즉위년에, 재정 절약을 위해 중앙 각 관서와 군영의 보유 양곡 수를 조사하여 정리한 자료집.
내용

일명 ‘국곡총록(國穀總錄)’이라고도 한다. 수서본(手書本)으로 10권 10책이었으나, 제2·3책이 없어져 8책만 규장각도서에 유일하게 현존한다.

호조전세(戶曹田稅)·선혜청대동(宣惠廳大同)·균역청면세결(均役廳免稅結)·각영군보급둔세(各營軍保及屯稅)·호조원창급군향환곡(戶曹元倉及軍餉還穀)·상진청환곡(常賑廳還穀)·비변사구관환곡(備邊司句管還穀)·선혜청저치급전병선저치(宣惠廳儲置及戰兵船儲置)·균역청군작미(均役廳軍作米) 등의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1책에는 그 각각의 총수가, 제4책에는 호조원창 및 군향의 환곡으로 충청·전라·경상의 3도 환곡이, 제5·6책에는 상진청구관의 8도별 환곡이, 제7·8책에는 비변사구관의 도별 환곡이, 제9책에는 비변사구관 통영곡(統營穀)의 도별 환곡이, 제10책에는 선혜청구관 도별 저치미(儲置米)와 균역청군작미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없어진 제2·3책에는 호조의 전세(田稅), 선혜청의 대동미(大同米), 균역청의 면세결미(免稅結米), 각 군영의 군보(軍保) 및 둔세(屯稅), 호조원창 및 군향의 하삼도(下三道)를 제외한 각 도의 환곡수가 기록되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병신년, 즉 정조 즉위년의 세곡수입 내역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관 관서별 환곡수와 그 곡종별(穀種別) 조적 상황(糶糴狀況)을 각 도의 읍·산성(山城)·영(營)·진(鎭)·목장·역(驛)별로 자세히 살필 수 있다. 또 하삼도의 저치대동미(儲置大同米)에 대한 자세한 내역도 아울러 파악하게 한다.

참고문헌

『홍재전서(弘齋全書)』
「한국경제관계문헌집성(韓國經濟關係文獻集成)」(한우근, 『규장각도서연구총서(奎章閣圖書硏究叢書)』2, 서울대학교동아문화연구소, 1966)
관련 미디어 (7)
집필자
한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