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시등록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1634년(인조 12)부터 1677년(숙종 3)까지 사학(四學)의 각종 과시(課試)와 지방 공도회(公都會) 등 교육과 관련된 문서를 예조 계제사(稽制司)에서 정리하여 편찬한 책.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34년(인조 12)~1677년(숙종 3)
편자
예조 계제사
권책수
2책
표제
과시등록(課試謄錄)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내용 요약

『과시등록』은 1634년(인조 12)부터 1677년(숙종 3)까지 사학(四學)의 각종 과시(課試)와 지방 공도회(公都會) 등 교육과 관련된 문서를 예조 계제사(稽制司)에서 정리하여 편찬한 책이다. 시행 세칙인 절목(節目)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서 당시의 교육 제도를 이해하기 위한 일차적인 자료가 된다. 필사본 2책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도서에 포함되어 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1634년(인조 12)부터 1677년(숙종 3)까지 사학(四學)의 각종 과시(課試)와 지방 공도회(公都會) 등 교육과 관련된 문서를 예조 계제사(稽制司)에서 정리하여 편찬한 책.
주요 내용

『과시등록』에 수록된 사안은 시예와 전강에 해당하는 범주까지 포함하고 있으나, 과시의 범주에 해당하는 사안이 중심을 이룬다. 그 중에서도 사학(四學)의 각종 시험과 지방에서 도별로 시행한 공도회와 관련된 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7세기 조선에서는 전쟁의 후유증을 극복하며 학교와 교육 제도를 정비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았다. 그 중에서도 『 소학(小學)』의 학습과 실천을 중시하여, 1639년(인조 17) 사학의 과시와 지방 공도회에 『소학』의 주1을 신설하였다. 이를 계기로 교육과 학교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어 사학의 각종 시험과 지방 공도회의 운영 방식이 새롭게 정비되었다. 『과시등록』에는 이와 관련된 일련의 논의 과정과 관련 규정인 주2, 운영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종합되어 있다.

이외에도 사학의 승보시(陞補試)와 윤차 제술, 도회(都會), 교관(敎官)의 파견, 평안도와 함경도의 문무 시재(文武試才), 관무재, 각종 과시 우등자에 대한 시상, 문신 교육 등 교육과 관련된 제반 문서들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시행 세칙인 절목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서 당시의 교육 제도를 이해하는 데 일차적인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인터넷자료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https://kyudb.snu.ac.kr)
주석
주1

강경과(講經科)의 성적을 살펴서 등수를 매기던 일. 우리말샘

주2

법률이나 규정 따위의 낱낱의 조나 항. 우리말샘

주3

본문 위쪽에 적는 주석.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