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화
개념
글씨나 그림을 완성한 뒤 작품 안에 이름, 그린 장소, 제작 연월일 등의 내용을 적은 기록. 낙관 · 관서 · 관지 · 관기.
이칭
이칭
낙관(落款), 관서(款署), 관지(款識), 관기(款記)
내용 요약

관은 글씨나 그림을 완성한 뒤 작품 안에 이름, 그린 장소, 제작 연월일 등의 내용을 적은 기록이다. 낙관·관지라고도 한다. 관의 위치와 서체는 작품의 전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관의 기입 순서는 맨 먼저 누구의 필법 또는 화법을 본받았는지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작일시와 장소, 누구를 위한 것인지 쓴다. 끝으로 작자의 자나 호, 이름을 적고 그 아래 인장을 찍는다. 작자의 관직, 제작 경위 등을 첨부하기도 하지만 서명만 하는 경우도 있다. 관은 작자, 제작 일시, 경위 등을 담고 있어서 서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키워드
정의
글씨나 그림을 완성한 뒤 작품 안에 이름, 그린 장소, 제작 연월일 등의 내용을 적은 기록. 낙관 · 관서 · 관지 · 관기.
개설

고대 청동기에 새긴 글자를 가리키는 주1에서 유래되었으며, 관기(款記) 또는 관서(款署)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 작자의 서명과 인장도 포함된다. 이러한 관지를 화면에 기입하고 도장을 찍는 행위를 ‘낙성관지(落成款識)’라 하는데 흔히 줄여서 주2’이라 부른다. 서명과 제작일시만 기록하는 경우는 단관(單款)이라 하고, 누구를 위하여 그렸다는 등의 언급을 하는 경우 쌍관(雙款)이라 한다.

연원 및 변천

중국 송대부터 서화에 관지가 등장했으나 매우 드물었으며, 사용할 경우에도 화면 중의 나무뿌리나 바위 틈새 등에 적어 넣어 눈에 띄지 않게 하였다. 원대에 이르러 문인화의 성행에 따른 시서화일률(詩書畵一律) 풍조가 팽배하면서 주3와 함께 관지도 화면 위에 본격적으로 대두되었으며, 명나라 때부터는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궁정용 주4를 비롯한 실용화와 주5주6 등에는 낙관을 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관지의 위치와 서체는 서화의 한 부분으로서 중요한 구실을 하기 때문에 작품의 전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위치 선정과 필체 등에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이에 대한 관심은 중국 명나라 때부터 증대되어 여러 화론서(畵論書)에 제관론(題款論) 또는 서관론(書款論)의 항목이 설정되기도 하였다. 그 이론에 의하면 관지의 위치가 잘못되면 서화를 상하게 한다고 하였으며, 대체로 서예는 글씨가 끝난 곳에, 그림은 화면의 여백에 쓰되 주로 상단 부분에 쓰는 것이 좋다고 하였고, 관자(款字)의 크기는 화면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고 너무 번잡스럽게 많이 써도 안 된다고 하였다. 또한 화제(畵題)보다 작게 쓰는 것이 좋으며, 서체는 해서(楷書)행서(行書)를, 인장은 전서(篆書)를 많이 사용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까지 관지의 사용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그러한 풍조에 대하여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李德懋)『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7의 「예기억(禮記臆)」에서 중국은 물론 일본의 서화에는 반드시 누가 그렸다는 것을 밝힌다고 하고 “그런데 우리나라의 풍속에는 관지를 숭상하지 않으며, 심지어 저서나 간각(刊刻)에까지도 누구의 저작임을 기록하지 않으니 당세 사람 중에 그것을 읽는 자로서도 그것이 누구의 저작인지 까마득히 모른다.”라고 비판한 바 있다.

내용

관지의 기입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보통 누구의 필의(筆意)나 화법을 본받았다는 내용을 담은 임모방(臨模倣)의 표시를 먼저 하고, 다음에 제작일시와 장소, 누구의 부탁으로 누구를 위하여 그리거나 쓴다는 위사(爲寫) 표시, 그리고 끝으로 작자의 · · 이름 등을 적고 그 아래 인장을 찍는다.

이 밖에 작자의 연령이나 관직 또는 신병(身病) 상태, 제작 경위 등을 부기하기도 하지만 서명이나 서명인만 하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제작시기는 간지(干支)로 적고, 제작 월은 계절을 나타내는 절기로, 제작일은 한 달을 상순과 하순으로 나누어 쓴다.

또한 자보다는 호를 많이 사용하며 당호(堂號)를 쓰기도 한다. 호와 성명을 아울러 쓸 경우에는 반드시 호를 먼저 쓰고, 이름을 뒤에 쓰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인은 음각으로 새긴 백문(白文)의 성명인을 먼저 찍고, 그 밑에 양각으로 된 주문(朱文)의 호인을 찍는 것이 상례이다.

의의와 평가

관지는 작품의 제작자는 물론 제작 일시와 경위 등을 담고 있어서 작품의 절대 연대, 제작 배경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동양화구도론』(왕백민 지음, 강관식 옮김, 미진사, 1991)
『日本の美術』 4-文人畵-(飯島勇, 至文堂, 1966)
「문인화의 화제와 낙관」(김영기, 『동양미술론』, 우일출판사, 1980)
주석
주1

글자 따위를 음각한 것과 양각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글씨나 그림 따위에 작가가 자신의 이름이나 호(號)를 쓰고 도장을 찍는 일. 또는 그 도장이나 그 도장이 찍힌 것. 우리말샘

주3

제목을 붙여 시를 지음. 또는 그 시. 우리말샘

주4

중국 궁중의 화원(畫院)에서 발달한 독특한 양식의 그림. 사실적이고 정교하며 정통적인 격과 법을 존중하였고 장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당나라에서 비롯하여 청나라까지 이어졌다. 우리말샘

주5

건축, 가구, 그릇 따위에 장식으로 도안하여 그린 그림. 우리말샘

주6

실제로 있었던 특별한 사건이나 사실을 오래도록 남기기 위하여 그린 그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