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 ()

목차
관련 정보
신위 해서 천자문
신위 해서 천자문
서예
개념
글씨를 흘려 쓰지 아니하고 정자로 바르게 쓰는 한자서체. 금예 · 정서 · 진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해서는 글씨를 흘려 쓰지 아니하고 정자로 바르게 쓰는 한자 서체이다. 해서는 법도를 갖추어서 모범이 되는 서법이라는 뜻이다. 또 정서·진서로서 자체가 단정하고 용법이 법에 맞는다는 뜻도 있다. 이 서체는 종요라는 인물에서 시작되고 왕희지 등에 의해 장착되었다. 해서는 형태와 쓰임새에 따라 여러 명칭이 있다. 한 점도 흘리는 기운이 없다는 장해, 비명을 돌로 새기는 명석서가 있다. 3치 안팎의 큰 해서인 대해, 1치 평방의 중해, 작은 글자인 소해가 있다. 해서는 당나라에 이르러 서체가 성숙되고 서가를 배출하며 표준 서체를 이루었다.

목차
정의
글씨를 흘려 쓰지 아니하고 정자로 바르게 쓰는 한자서체. 금예 · 정서 · 진서.
내용

해서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① 법도(法度)를 갖추어서 해모(楷模:模範)가 되는 서법이라는 뜻이고, ② 정서 혹은 진서로서 자체가 단정하고 용필(用筆)이 법에 맞는다는 것으로 행서(行書) · 초서(草書)와 같이 흘리지 아니한다는 뜻이 있다. 종요(鍾繇)로부터 시작되고 왕희지(王羲之) 등에 의하여 장착되었다.

해서에는 형태와 쓰임새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명칭이 있다. ① 정해(正楷):한 점, 한 획에 조금도 흘리는 기운이 없는 것. ② 명석서(銘石書):비명(碑銘)을 돌에 새기는 서체로 정체(正體)를 공손하게 써서 장중(壯重)함을 나타내는 것. ③ 대해(大楷):해서의 큰 자[大字], 지극히 큰 것은 방서(榜書) · 벽과서(擘窠書)라 일컫는다. 대체로 3치 안팎의 크기를 말한다.

④ 중해(中楷):방촌(方寸), 즉 1치 평방의 해서로 촌해(寸楷)라고도 한다. ⑤ 소해(小楷):소자(小字)의 해서로 수푼(數分) 평방의 자양(字樣)이며 뚜렷한 예는 왕희지의 황정경(黃庭經) · 악의론(樂毅論)이나 왕헌지(王獻之)의 십삼행락신부(十三行洛神賦) 등이 그것이다. 소해의 아주 작은 것은 승두서(蠅頭書) · 세자(細字)라고도 일컫는다. 승두서는 크기가 파리머리만 하다는 말이고 세자는 가는 좁쌀[細黍]만하다는 데서 연유되었다.

해서는 또 북위해(北魏楷) 또는 위체(魏體)와 당해(唐楷)로 나누어진다. 위체는 북조(北朝)의 원위시대(元魏時代)의 해서체로 석각(石刻) · 마애(摩崖) · 조상(造像) 등에서 볼 수 있다. 이 때에 처음 해서가 시작되어 예법(隷法)에서 벗어나려는 과도기이기 때문에 형태가 여러 가지로 변하였으며, 방정(方正)하고 거세며 묵직한 것을 주로 하여 북비체(北碑體) 또는 위체라고 하였다.

위체의 특징은 필기(筆氣)가 혼후(渾厚)하고, 의태(意態:마음의 상태)는 질탕(跌宕)하며, 길고 짧으며 크고 작음이 그 형태에 따라 분항포백(分行布白)에 있어 묘(妙)를 다하였으되 정제한 가운데에서 변화하고 방평(方平)한 속에 기굴(奇堀)함을 감추어 정채(精采)함을 다하였다. 위체는 해서의 발전시기로서 위로 종(鍾) · 왕(王)을 잇고 아래로 수(隋) · 당(唐)을 열었으니 당에 이르러 해서는 완전히 성숙되었다.

완원(阮元)의 남북서파론(南北書派論)에, “북파(北派)는 중원(中原)의 고법(古法)으로 삼가고 치졸하나 비방(碑榜)에 으뜸”이라 하여 비학(碑學), 즉 위체를 숭상하는 학풍의 바람이 크게 일어났다. 당해(唐楷)는 북위해에서 수대(隋代)를 거쳐 해서의 완성을 보게 되는데, 그 규구(規矩)가 잡힌 해서의 전형(典型)을 이룬다.

수대에는 아직 필획에 있어 다소 예서의 잔영이 보이며, 당대(唐代)에 이르러서 서체가 성숙되고 서가(書家)를 배출하게 되며 표준서체를 이루게 된다. 그 대표적 서가로는 구양순(歐陽詢) · 우세남(虞世南) · 저수량(褚遂良) · 안진경(顔眞卿) · 유공권(柳公權)을 들 수 있다.

북위해는 예서에서 해서로 옮겨지는 과도기적 형태로 방필 위주의, 아직 예서에서 탈피되지 않은 원형(原形)의 해서이며, 당해는 숙달되고 규구가 짜임새 있게 틀이 잡힌 해서이다.

참고문헌

『書法硏究』(王壯爲, 臺灣商務印書館, 1969)
『中國書法大辭典』(香港書譜出版社,198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