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자이중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이 물과 같은 설사를 할 때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이 물과 같은 설사를 할 때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소음인위수한이이한병론(少陰人胃受寒裡裏寒病論)에 수록되어 있다.

소음인은 주1의 기운이 부족한 체질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음(裏陰)이 제대로 내리지 못하여 주2 곧 이한병(裏寒病)이 생기기 쉽다. 위수한이한병의 주요 병증은 태음복통증(太陰腹痛症)과 소음하리증(小陰下利症)으로 크게 나뉜다.

태음증은 복통과 설사가 있으면서 목마름[口渴] 증세가 없고 식욕은 정상인 증후군을 말하며, 소음증은 복통과 설사, 목마름이 있으면서 식욕부진도 같이 나타나는 증후군을 말한다.

태음증은 대개 위(胃)를 덥게 하고 음(陰)을 내리게[溫胃理而降陰] 하는 치료를 하고, 소음증은 비장(脾臟)을 도와 음을 내리도록[健脾而降陰] 치료를 한다. 결국 둘 다 이음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주된 치료이다.

음증 하리청수(下利淸水) 증세를 치료하는 대표적 처방이다. 처방은 인삼 11.25g, 주3 · 건강포(乾薑炮) · 주4 각 7.5g, 백작약 · 주5 · 감초구(甘草灸) · 부자포(附子炮)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은 소음인의 중풍변폐(中風便閉) · 주6 · 중장(中臟: 풍이 장에 침범한 것) · 주7 · 주8 · 주9 등이 있다. 이 처방은 이중탕(理中湯)에 관계 · 부자 · 진피 · 작약을 가미한 것이다.

이중탕은 비(脾)와 폐의 기운을 도우면서 탁한 한기(寒氣)를 없애는 약인데, 여기에 간(肝)과 신(腎)의 혈분(血分)에 들어가 냉(冷: 沈寒凅冷)을 물리치는 육계(肉桂)와 12경락(十二經絡)을 통하게 하고 음과 양을 도우며[補陰補陽], 나쁜 기운과 냉을 물리치는[逐邪去冷] 부자를 첨가하여 이중탕의 약효를 증가시킨 것이다.

아울러, 체증(滯症)을 내리고 기운을 순조롭게[通滯順氣] 하는 백작약과 진피를 더하여 건강(乾薑) · 육계 · 부자의 작용을 돕도록 하였다.

관계부자이중탕은 ‘인삼부자관계탕’이라고도 하며, 이 처방에서 부자를 빼고 인삼 18.75g을 더하면 독삼관계이중탕(獨蔘官桂理中湯)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 주10 · 사인(砂仁)을 첨가하면 계부곽진이중탕(桂附藿陳理中湯)이 되며, 다시 여기에 주11 · 주12 · 주13 · 소엽(蘇葉)을 더 첨가하면 궁귀총소이중탕(芎歸葱蘇理中湯)이 된다.

이들 처방은 태음음독병(太陰陰毒病) · 주14 · 주15 · 음성양허(陰盛陽虛)와 주16주17의 위중한 증세 등에 응용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상원론』(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78)
『增補東醫四象新編』(元持常, 綜合醫苑社, 1974)
주석
주1

지라와 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병적으로 느끼는 추운 기운. 우리말샘

주3

삽주의 덩이줄기를 말린 약재.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한데, 비기를 보하고 입맛을 돕고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을 한다. 우리말샘

주4

5~6년 이상 자란 계수나무의 두꺼운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건위제와 강장제로 쓴다. 우리말샘

주5

물푸레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열성 이질(熱性痢疾)ㆍ대하(帶下)ㆍ눈병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6

풍사(風邪)가 육부(六腑)에 있는 중풍.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졌다가 깨어난 다음에 반신불수가 오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우리말샘

주7

심(心)과 신(腎)의 기혈이 손상되어 오한과 설사가 있고, 팔다리가 차며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병. 우리말샘

주8

위가 허하거나 위에 한, 습, 열, 담, 식체 따위가 있어서 가슴 속이 불쾌하고 울렁거리며 구역질이 나면서도 토하지 못하고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 우리말샘

주9

‘기침’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꿀풀과에 속한 곽향의 줄기나 잎을 증류해서 얻은 방향수. 더위로 인한 기체, 흉번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11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 복엽으로 톱니가 있다. 8~9월에 흰 꽃이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복산형 화서로 피고 열매는 여물지 않는다. 애순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2

신감채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보혈 작용이 뛰어나 부인병에 쓴다. 우리말샘

주13

백합과에 속하는 파의 생약명. 비늘줄기를 말려 약용하며, 독특한 냄새가 있고, 달고 매운맛이 난다. 항진균, 발한 및 해열, 이뇨, 건위, 거담의 작용을 한다. 한방에서는 표사를 흩어 주고, 양(陽)을 통하게 하여 해독하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14

곽란의 하나. 배가 뒤틀리는 것처럼 아프며, 토하거나 설사는 하지 않으나 가슴이 답답해진다. 우리말샘

주15

궐증의 하나. 내장의 양기가 허하여 팔다리가 싸늘하여진다. 우리말샘

주16

음괘가 겹치는 것. 음 중의 음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7

심(心)과 신(腎)의 기혈이 손상되어 오한과 설사가 있고, 팔다리가 차며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병.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