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지반하생강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위수한리한병에 속하는 수결흉과 허한구토를 치료하기 위하여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위수한리한병에 속하는 수결흉과 허한구토를 치료하기 위하여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록되어 있다. 처방의 구성은 생강 11.25g, 주1 · 주2 각 7.5g, 백작약(白芍藥) · 주4 · 주5 · 주6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은 구토(嘔吐), 배와 가슴이 답답함, 또는 더부룩함[痞滿], 사기(邪氣)가 가슴에 맺힘[水結胸], 가슴울렁거림[怔忡] · 기침[喘咳], 팔다리와 몸이 무거움[肢體沈重] 등이다.

생강을 군약(君藥)으로 하는 것은 그 성질이 더우면서 양부위(陽部位)의 찬 기운(寒邪)을 없애는 동시에 폐기(肺氣)를 펼쳐주고, 비장(脾臟)과 위경(胃經)의 맺힌 기운을 풀어주는 힘을 이용하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구토 · 비만 · 수결(水結) · 정충 · 천해 등의 증세는 우선 양부위에 찬 기운이 맺혀서 비위를 압박하여 나타나므로, 이것을 풀어주지 않으면 비위(脾胃)의 통로가 막혀 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계지 · 백작약 · 감초 등의 계지탕(桂枝湯) 재료와 함께 써서 밖에서 들어오는 사기를 막는 동시에 혈액순환을 도우려는 것이며, 백출 · 진피를 쓰는 것은 비위를 도와서 양기를 보존하며 가슴의 습(濕)을 없애면서[升陽燥濕], 흐림을 맑게 하고 기운을 순조롭게[去濁順氣] 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나쁜 기운을 없앨[逐邪舒伸] 작용을 합하여 영(營)과 위(衛)의 생명의 활동이 조화를 이루면서 인체는 정상을 회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생강은 직접 위를 돕고 비(脾)를 튼튼하게[和胃健脾] 하는 힘이 없으므로 습기를 없애고 담을 삭이면서[除濕化痰] 역기(逆氣)를 내리게 하고 생리기능의 원동력[眞陽]을 신장(腎臟)으로 내려오도록 하여, 신장기능을 원활하게[潤腎燥]하는 반하를 보충하여 안과 밖의 기능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소음인의 위(胃)가 한사를 받아서 오는 허한 · 구토 · 수결 · 정충 · 비만과 같은 증세들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처방에 주7 · 주8 · 주9 · 남성(南星) 각 3.75g을 더하면 거풍산(祛風散)이 되는데, 이것은 소음인의 와사증(喎斜症) · 주11 · 반신불수(半身不隨) · 주12 · 주13 · 주14 · 육울(六鬱) · 중풍으로 인한 언어장애[中風失音], 옮겨다니는 통증[流注痛], 면통(面痛) · 아치통(牙齒痛) 등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이제마, 신일문화사, 1964)
『동의수세보원주석』(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증보동의사상신편』(원지상, 종합의원사, 1974)
주석
주1

계수나무의 가지. 약용한다. 우리말샘

주2

반하, 백반, 생강을 섞어 만든 누룩. 습병(濕病)을 없애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3

백작약을 데쳐서 말린 다음 빻아서 만든 가루. 우리말샘

주4

삽주의 덩이줄기를 말린 약재.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한데, 비기를 보하고 입맛을 돕고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을 한다. 우리말샘

주5

물푸레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열성 이질(熱性痢疾)ㆍ대하(帶下)ㆍ눈병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6

불에 구워 약재의 성질을 약하게 하고 약간 변화시킨 감초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운향과에 속한 광귤나무의 생약명. 미성숙 과실로 한방에서 소화 불량, 위 처짐 등에 사용한다. 우리말샘

주8

말린 청귤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기를 잘 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간기(肝氣)가 몰려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 데, 학질, 적취(積聚)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9

말린 천태오약의 덩이뿌리. 기를 잘 통하게 하고 한사(寒寫)를 없애며 신장(腎臟)과 방광을 따뜻하게 하여 심복통(心腹痛), 각기(脚氣), 소변빈삭 따위의 치료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10

‘구안괘사’의 방언 우리말샘

주11

몸의 분비액이 큰 열(熱)을 받아서 생기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담의 생성 원인에 따라 풍담, 열담 따위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12

관절이 붓고 통증이 극심하며 구부리고 펴기를 잘하지 못하는 병. 서양 의학의 급성 류머티즘성 관절염에 해당한다. 낮에는 좀 나았다가 밤에는 심해지는데, 그 통증이 범에 물린 것같이 심하여 백호(白虎) 역절풍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13

온몸에 좁쌀 모양의 붉은 점이 돋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기침’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