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활지황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중풍 · 토혈 등 증세 치료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중풍 · 토혈 등 증세 치료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고종 31)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소양인위수열이열병론(少陽人胃受熱裡熱病論)에 나와 있다.

소양인의 중풍 · 토혈 · 구토 · 식체(食滯) · 비만 다섯 가지의 증세는 소양인이 가진 체질적인 특성인 청양(淸陽)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여 오는 것이다.

또, 주1 · 주2 · 주3 · 주4 · 주5 · 흉협만(胸脇滿) 등의 증세는 역시 체질적 특성에서 오는 표음(表陰)이 울체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한 데서 발생하는 증후로 보았다.

이 독활지황탕은 청양을 상승시켜 줄 목적으로 쓰는 처방으로, 이제까지의 지황탕류(地黃湯類)의 처방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 의도와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제마가 이 처방을 쓰는 의도는 단지 보신수(補腎水)라는 의미를 떠나 음양이 모두 약하기 때문에 청양이 상승하지 못하여 병증이 난 것으로 보고 이를 보완함으로써 청양을 상통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처방은 주6 15g, 산수유(山茱萸) 7.5g, 복령(茯苓) · 택사(澤瀉) 각 5.625g, 주7 · 방풍(防風) · 독활(獨活)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주8은 소양인의 주9 · 중부(中腑) · 구안와사(口眼喎斜) · 주12 · 주13 · 음허오열(陰虛午熱) · 식체 · 비만 · 학질 · 토혈 · 주14 · 주15 · 주16 · 주17 등이

군약(君藥)주18을 이루고 있는 숙지황은 자음(滋陰) · 전정(塡精) · 보수(補髓)의 작용이 있으므로 생명의 근원인 수기(水氣)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 보양(補陽)하는 산수유로써 원양(元陽)을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삼습이뇨(渗濕利尿)의 작용이 있는 복령과 택사로 하초습열(下焦濕熱)을 제거하여 승양(升陽)작용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또한, 사화(邪火)를 제거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는 목단피, 주19를 제거하는 방풍과 독활을 더하여 처방을 완성하여 음양이 균형을 잡도록 한 것이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상원론(四象原論)』(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78)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주석
주1

몸이 붓는 증상. 심장병이나 콩팥병 또는 몸의 어느 한 부분의 혈액 순환 장애로 생긴다.    우리말샘

주2

숨을 몹시 가쁘게 쉬며 헐떡거림.    우리말샘

주3

사기(邪氣)가 가슴 속에 몰려 생긴 증상. 명치 끝에서 하복부에 걸쳐 딴딴하고 아프다.    우리말샘

주4

변에 곱이 섞여 나오며 뒤가 잦은 증상을 보이는 법정 감염병. 세균성과 원충성으로 구별한다.    우리말샘

주5

병을 앓을 때, 한기와 열이 번갈아 일어나는 증상.    우리말샘

주6

생지황을 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려서 만든 약재. 보혈(補血)ㆍ보음(補陰)하는 효능이 있어 여러 가지 허손(虛損)과 통경(通經)의 치료와 강장제로 쓰인다.    우리말샘

주7

모란 뿌리의 껍질.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서 열을 내리는 데나 월경 불순, 출혈, 피부 반진, 타박상 따위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8

어떠한 약제나 수술 따위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    우리말샘

주9

‘뇌중풍’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풍사(風邪)가 육부(六腑)에 있는 중풍.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졌다가 깨어난 다음에 반신불수가 오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우리말샘

주11

얼굴 신경 마비 증상. 입과 눈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병이다.    우리말샘

주12

‘반신불수’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음기(陰氣)와 혈기(血氣)가 부족하여 골수가 메말라서 뼈 속이 후끈후끈 달아오르고 몹시 쑤시는 증상. 기침과 미열이 나고 식은땀이 많이 나며 마른다. 결핵 따위의 만성 소모성 질환에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14

깨어 있는 상태에서 저절로 땀이 많이 흐름. 또는 그런 병.    우리말샘

주15

심신이 쇠약하여 잠자는 사이에 저절로 나는 식은땀.    우리말샘

주16

비타민 비 원()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영양실조 증상. 말초 신경에 장애가 생겨 다리가 붓고 마비되며 전신 권태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17

무릎이 붓고 아프며 다리 살이 여위어 마치 학의 다리처럼 된 병.    우리말샘

주18

한약 처방에서 가장 주가 되는 약.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숙지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9

육음(六淫)의 하나. 바람이 병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