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미지황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이병증에서 나타나는 중풍 · 토혈 · 음허오열 등의 증세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이병증에서 나타나는 중풍 · 토혈 · 음허오열 등의 증세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소양인의 병증은 크게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과 위수열이열병(胃受熱裏熱病)으로 나뉜다. 즉 표병증(表病證)과 이병증으로 나뉜다.

표병증은 대개 표음(表陰)이 주1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여 오는 증세로 주2 · 주3 · 주4 · 이질 · 주7 · 흉협만(胸脇滿) 등 병증이 이 표병증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된 치료의 방향은 표음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반면 이병증은 청양(淸陽, 裡陽)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여 유발되는 병증으로 주8 · 주9 · 식체 · 비만 · 구토 등이 이병증에 속하는데 십이미지황탕은 이러한 경우에 음양을 보하면서 청양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병증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처방의 구성은 주10 15g, 주11 7.5g, 주12 · 주13 각 5.625g, 주14 · 주15 · 주16 · 주17 · 주18 · 주19 · 주20 · 주21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권3, 새로 정한 소양인병의 주요 17처방 가운데 십이미지황탕은 “숙지황 4돈, 산수유 2돈, 백복령 · 택사 각 1돈5푼, 목단피 · 지골피 · 현삼 · 구기자 · 복분자 · 차전자 · 형개 · 방풍 각1돈[十二味地黃湯: 熟地黃 四錢, 山茱萸 二錢, 白茯苓 · 澤瀉 各一錢五分. 牧丹皮 · 地骨皮 · 玄蔘 · 枸杞子 · 覆盆子 · 車前子 · 荊芥 · 防風 各一錢.]”이라고

적응증주32으로는 소양인의 음허오열 · 몽유(夢遺) · 백음(白淫) · 경계(驚悸) · 주24 · 주25 · 토혈(吐血) · 주26 · 주27 · 주28 · 주29 · 주30 · 주31 등이 있다.

이 처방은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에서 산약(山藥)을 빼고 현삼 · 지골피 · 구기자 · 복분자 · 차전자 · 형개 · 방풍을 첨가한 처방이다. 육미지황탕은 보음(補陰)하면서 흩어진 원양(元陽)을 다시 환원시키는 작용이 있는 약물이다. 여기서 산약을 뺀 것은 소양인은 비대하므로 보비(補脾)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33의 음(陰)을 보하는 구기자로 순기화담(順氣化痰)하게 하고, 간신의 주34을 사(瀉)하는 지골피, 익신고정(益腎固精)하는 복분자, 자음해옹(滋陰解甕)하는 현삼, 고정이수(固精利水)하는 차전자, 비폐경(脾肺經)의 사화(邪火)를 발산시켜 주는 형개와 방풍 등이 합하여 음양을 보호해 줌으로써 소양인 이병증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청양을 상승시켜 병증이 치료되는 것이다.

이 처방은 소양인에게 최상의 보약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병증에 따라서는 육미지황탕이나 독활지황탕(獨活地黃湯)보다도 효과가 못한 경우도 있으니 병증을 충분히 참작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신일문화사, 1964)
『동의수세보원주석』(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동의사상처방집』(렴태환, 행림서원, 1974)
주석
주1

공기 따위가 막히거나 가득 참. 우리말샘

주2

몸이 붓는 증상. 심장병이나 콩팥병 또는 몸의 어느 한 부분의 혈액 순환 장애로 생긴다. 우리말샘

주3

숨을 몹시 가쁘게 쉬며 헐떡거림. 우리말샘

주4

사기(邪氣)가 가슴 속에 몰려 생긴 증상. 명치 끝에서 하복부에 걸쳐 딴딴하고 아프다. 우리말샘

주5

변에 곱이 섞여 나오며 뒤가 잦은 증상을 보이는 법정 감염병. 세균성과 원충성으로 구별한다. 우리말샘

주6

병을 앓을 때, 한기와 열이 번갈아 일어나는 증상. 우리말샘

주7

병을 앓을 때, 한기와 열이 번갈아 일어나는 증상. 우리말샘

주8

뇌혈관의 장애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구안괘사, 반신불수, 언어 장애 따위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 우리말샘

주9

위나 식도 따위의 질환으로 피를 토함. 또는 그 피. 우리말샘

주10

생지황을 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려서 만든 약재. 보혈(補血)ㆍ보음(補陰)하는 효능이 있어 여러 가지 허손(虛損)과 통경(通經)의 치료와 강장제로 쓰인다. 우리말샘

주11

산수유나무의 열매. 몸을 건강하게 하고 혈기를 왕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유정(遺精), 야뇨증, 대하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12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 공 모양 또는 타원형의 덩어리로 땅속에서 소나무 따위의 뿌리에 기생한다. 껍질은 검은 갈색으로 주름이 많고 속은 엷은 붉은색으로 무르며, 마르면 딱딱해져서 흰색을 나타낸다. 이뇨의 효과가 있어 한방에서 수종(水腫), 임질, 설사 따위에 약재로 쓰인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3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30cm이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고 늪이나 얕은 물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4

모란 뿌리의 껍질.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서 열을 내리는 데나 월경 불순, 출혈, 피부 반진, 타박상 따위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15

구기자나무 뿌리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과 해수, 객혈, 소갈증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16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1.5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 모양인데 톱니가 있다. 줄기는 사각형이고 털이 없다. 8~9월에 옅은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뿌리는 약용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7

구기자나무의 열매. 해열제와 강장제로 쓴다. 우리말샘

주18

복분자딸기의 열매. 우리말샘

주19

질경이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를 다스리며, 눈을 맑게 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 데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20

명아줏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인데 다섯 갈래로 깊이 갈라진다. 여름에 위쪽 잎겨드랑이에 연분홍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1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여름에 흰 꽃이 복산형(複繖形) 화서로 피고, 뿌리는 약용한다. 우리말샘

주22

어떠한 약제나 수술 따위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 우리말샘

주23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병. 유전적인 경우도 있으나 외상(外傷), 뇌종양 따위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24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병. 유전적인 경우도 있으나 외상(外傷), 뇌종양 따위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25

정신에 이상이 생겨 일어나는 미친 증세. 우리말샘

주26

깨어 있는 상태에서 저절로 땀이 많이 흐름. 또는 그런 병. 우리말샘

주27

심신이 쇠약하여 잠자는 사이에 저절로 나는 식은땀. 우리말샘

주28

얼굴에 열이 올라 발갛게 되는 증상. 신경 쇠약, 히스테리, 위장병 따위로 신열이 올라서 생긴다. 우리말샘

주29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에 한습(寒濕)이 있거나, 히스테리 따위로 얼굴이 서늘해지는 신경병. 우리말샘

주30

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증. 아랫배가 땅기며 통증이 있고 소변과 대변이 막히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31

주머니 모양의 혹. 우리말샘

주32

어떠한 약제나 수술 따위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 우리말샘

주33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4

몸이 허약하여 나는 열.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