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오수유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음인의 태음증, 소음증, 궐음증에서 탈수 양상이 심한 경우에 쓰이는 처방.
목차
정의
소음인의 태음증, 소음증, 궐음증에서 탈수 양상이 심한 경우에 쓰이는 처방.
내용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실려 있다. 처방의 구성은 인삼 37.5g, 오수유(吳茱萸)·생강 각 7.5g, 당귀·백작약·관계(官桂)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은 삼미삼유탕(三味蔘萸湯)에 백작약·당귀·관계를 첨가한 처방이다. 삼미삼유탕은 오수유 11.25g, 인삼 7.5g, 생강 네 쪽, 대추 두 개로 구성되어 궐음증으로 구토연말(嘔吐涎沫)하는 경우, 소음증으로 사지궐랭(四肢厥冷)하고 번조(煩燥)한 경우, 양명증(陽明症)에 음식이 입에 들어가면 즉시 토하는 증세 등을 치료하는 약이다.

또한, 이 처방은 인삼진피탕(人蔘陳皮湯)과 마찬가지로 음독(陰毒)을 치료하는 처방이므로 생강으로 비(脾)와 폐(肺)의 기운을 펴주면서 양부(陽部)의 흉격(胸膈)의 담(痰)을 제거하며, 인삼으로 폐중양기(肺中陽氣)를 보충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는 것인데, 인삼의 분량이 적었을 경우 음독이 심하면 사기(邪氣)를 처리하여 낼 수 없으므로 인삼을 37.5g으로 증량해서 사용하였다.

오수유는 소간조비(疏肝燥脾)하면서 궐음음독(厥陰陰毒)을 다스리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승양강음(昇陽降陰)하면서 사열(邪熱)을 내려가게 함으로써 이급(裡急: 아랫배가 아프면서 곧 대변이 나올 것 같음)한 증세를 막을 수 있는 힘이 강하다.

아울러 당귀와 작약을 첨가함으로써 간경(肝經)에서 생기가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육계를 가하여 명문상화(命門相火)를 돕게 하면서 침한고랭(沈寒痼冷)을 공격하도록 한 처방이다.

이상의 약물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음독증(陰毒症)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삼미삼유탕 등의 처방에 비하여 월등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주석』(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