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노씨 분묘 출토 명기류 ( )

목차
관련 정보
광산노씨 분묘 출토 명기류
광산노씨 분묘 출토 명기류
공예
유물
문화재
광주광역시 북구 생룡동 지내마을 광산노씨 분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의 명기류.
목차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생룡동 지내마을 광산노씨 분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의 명기류.
내용

36점. 1990년 광주광역시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소장. 이 명기류는 1987년광주광역시가 생룡동 일대에 우치공원 용지를 조성하던 중 선대의 분묘를 이장하면서 발견되었다.

명기류 및 부장품이 나온 분묘는 노우섭(盧優燮 : 광주 북구 일곡동)씨의 18대조 중륜(仲崙), 17대조 한경(漢經), 16대조 옥손(玉孫)의 묘이다. 남포현령(南浦縣令) 증(贈)병조참판을 지낸 중륜의 묘에서는 거의 완벽한 보전상태의 청동 수저 및 젓가락이, 자헌대부(資憲大夫)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지낸 한경의 묘에서는 구리거울[銅鏡]과 철제가위가 출토되었다.

최대출토처인 옥손의 묘에서는 철화백자 남녀 도우(陶偶 : 6점)를 비롯하여 술띠(1점), 유리구슬(7점), 철화백자 마형명기(馬形明器 : 2점), 바리와 받침이 있는 완형명기(盌形明器 : 7점), 대접모양의 명형명기(皿形明器 : 2점), 주둥이가 되바라진 병형명기(甁形明器 : 1점), 꼭지달린 뚜껑을 몸체와 붙여 만든 호형명기(壺形明器 : 4점), 뚜껑을 따로 분리시켜 만든 항아리형명기[大壺形明器 : 2점] 등 모두 32점이 나왔다.

도우는 남녀 각 3점으로 크기는 비슷하지만 표정은 각양각색으로 남자는 상투머리, 여자는 어여머리(머리 위에 얹은 머리)형태이며 양팔을 앞가슴에 모으고 있다. 머리·눈썹·눈·손 등을 철채(鐵彩)로 나타냈는데 일부 도우에는 옷고름과 옷섭까지도 표현하고 있다.

마형명기는 살찐 말의 형상으로 조금 둔해 보이나, 말안장이 선명하며 눈·갈기·굴레·광안·다래·말발굽 등을 철채로 나타냈다. 연한 회청색의 백자명기류는 대체로 유역이 고르게 입혀졌으며 형태적 균형미도 비교적 잘 갖추고 있다.

광산노씨 명기류는 경기도 창곡리 출토품(10점)이나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온양민속박물관·호림박물관 등의 소장품보다 수량이 많을 뿐 아니라, 종류의 다양함에서도 비교 우위의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명기 부장풍속이 절정을 이루었던 조선 중엽의 작품이다.

참고문헌

『중원무릉동조선시대분묘발굴조사보고』(충북대학교박물관, 1983)
「우리나라 명기에 관한 고찰」(최호림, 『한양대학교한국학논집』 14, 1988)
『문화재도록』(광주광역시, 199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