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성당집 / 하락괘수배절도
성당집 / 하락괘수배절도
유교
개념
『주역』에서 인간과 자연의 존재 양상과 변화의 원리를 상징하는 유교용어.
목차
정의
『주역』에서 인간과 자연의 존재 양상과 변화의 원리를 상징하는 유교용어.
내용

「계사전(繫辭傳)」에서는 “괘는 만물을 표상하는 것이며, 표상한다는 것은 본받는 것이다.”고 하여 괘는 세계의 전 존재를 표현하고 본받는 상징체로 규정하고 있다.

‘괘(卦)’는 ‘복(卜)’과 ‘규(圭)’의 합성어인데, ‘규’는 음을 나타내고 ‘복’은 양의 의미를 나타낸다. ‘복’은 본래 거북 껍질을 불에 태워 점을 칠 때 나타나는 균열상(龜裂象)을 그린 문자이다.

또한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괘(卦)는 점서(占簭)하는 소이(所以)이다.”고 규정한 바와 같이 괘는 본래 점법과 깊은 관계가 있는 상징체라고 할 수 있다.

괘에는 3개의 효(爻)로서 이루어진 8개의 괘, 즉 팔괘(八卦)와 이것이 두 개씩 겹쳐져 6개의 효로서 구성된 64개의 괘, 즉 육십사괘(六十四卦)가 있다. 전자를 단괘(單卦) 또는 소성괘(小成卦)라고 부르며 후자를 중괘(重卦) 또는 대성괘(大成卦)라고 한다.

괘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효는 사물의 변화를 본뜬 것으로 양적인 성질을 대표하는 양효(陽爻 : ○)와 음적인 성질을 대표하는 음효(陰爻 : ○) 두 가지가 있다.

이것은 일종의 범주로서 상호 대대적(對待的)인 모든 현상과 그 관계성을 포섭한다. 효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주역』에는 이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론이 없다.

다만 인간의 사유가 미분화의 혼돈 상태에서부터 분별지(分別知)로 발전되어 간다고 할 수 있다면 그 최초의 지식은 밝음과 어두움, 위와 아래, 좋음과 나쁨등 이원적 구조였을 것이며 이것이 ○과 ○이라는 기호로 형상화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유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사상(四象), 팔괘(八卦), 육십사괘(六十四卦)로 전개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전개과정을 수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2(兩爻) 2=4(四象) 2=8(八卦) 2=64(六十四卦)

3효 단괘는 음양효의 구성 비율에 따라 각각 하늘·땅·물·불 등 사물을 상징하며, 두 개의 단괘가 겹쳐진 육효 중괘는 단괘의 상호 연관성에 따라 야기되는 사건을 상징한다.

『주역』원문에는 64개의 중괘만 나타난다. 이것이 『주역』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이며, 괘사 효사 및 64괘를 해석하는 십익(十翼)은 보조적인 수단이다. 『주역』의 저자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로 문자가 아닌, 괘라는 상징체를 택한 이유에 대해 「계사전(繫辭傳)」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글로써는 말이 표현하는 내용을 다 표기할 수 없고, 말로써는 (말하는 사람이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뜻을 다 표현할 수 없다. 그렇다면 성인의 뜻을 볼 수 없는 것일까?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성인이 상징체를 만들어서 (자신이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뜻을 완전하게 표현하였다.”

말과 글은 사람의 생각을 나타내고 전달하는 매개체인데, 이것은 생각의 일부분 밖에 표현하지 못하는 불완전한 것이다.

특히 글은 말에 비해 더욱 불완전한 표현 수단이다.

이와 같은 언어의 한계성·불완전성을 극복하기 위해 『주역』은 괘라는 상징적 기호를 제정해 인간계와 자연계의 변화를 설명하고 길흉화복을 점치는 도구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주역(周易)』(최영진, 동아출판사, 1993)
『易經』(今井宇三郞, 明治書院, 1990)
『역학사상의 철학적 탐구』(최영진, 성균관대학교, 198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