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수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오위도총관, 장악원제조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미숙(眉叔)
이칭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6년(세조 2)
사망 연도
1523년(중종 18)
본관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오위도총관|장악원제조
관련 사건
중종반정
정의
조선 전기에, 오위도총관, 장악원제조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미숙(眉叔). 강원도부원수 구성로(具成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목사 구양(具揚)이고,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구치홍(具致洪)이며, 어머니는 진천송씨(鎭川宋氏)로 좌랑 송계후(宋啓後)의 딸이다. 큰아버지는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세에 영응대군(永膺大君: 세종의 여덟째 아들)의 사위로 뽑혀 세조로부터 특별히 선략장군부호군(宣略將軍副護軍)을 제수받았다. 예종이 즉위한 뒤에는 은총을 입어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르고, 성종이 즉위하자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곧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1493년(성종 24)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이 되어 군대 통솔의 책임을 맡았고, 이어 상의원제조(尙衣院提調)를 지냈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다시 도총관을 역임하고, 1501년(연산군 7)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올랐다.

이 때 대간들이 부적당하다고 탄핵했으나 오히려 판돈녕부사로 승진되고, 이듬 해에는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1504년 소혜왕후(昭惠王后)가 죽자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로서 상례를 잘 처리하였다. 이듬해에는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가 되어, 흥청(興淸) 200인, 운평(運平) 1,000인, 광희(光熙) 1,000인을 모아 악률을 교육하면서 연산군의 유락(遊樂)을 도왔으며, 그 공로로 1506년에는 한성부판윤에 올랐다.

이어 경기순무사(京畿巡撫使)로 나갔다가 중앙으로 돌아와 박원종(朴元宗) 등이 중종반정을 도모하자, 이에 가담해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책록되고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에 봉해졌다. 그 뒤 영경연사(領經筵事)를 겸했으나 사직하여 체직되었으며, 이후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다. 효성이 지극하고 성품이 자상했으며 음률과 악기에 재주가 있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목계일고(木溪逸稿)』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최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