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괘 ()

목차
유교
개념
『주역』 64괘 중 38번째에 있는 유교기호. 괘명.
목차
정의
『주역』 64괘 중 38번째에 있는 유교기호. 괘명.
내용

규(睽)는 서로 바라보는 눈이 순하지 못한 상태, 즉 반목·질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글자이다. 여기에서부터 ‘서로 어긋나고 상이함’이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

괘상은 불이 위로 타오르고 연못의 물은 아래로 흐르는 형상으로서, 서로 상반되는 성향을 보여준다. 또한 중여(中女;離卦)와 소녀(少女;兌卦)가 한 집에 살면서 뜻이 달라 서로 질시하는 모순과 갈등의 상황이다.

그런데 괘사에서 “규(睽)는 작은 일은 길하다.”고 하여 길한 괘로 규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 해답은 「단전(彖傳)」의 다음 구절에서 찾을 수 있다. “천지가 어긋나 상이하지만 그 일은 같고, 남녀가 어긋나 상이하지만 그 뜻은 통하고, 만물이 어긋나 상이하지만 그 일은 비슷하다.”

이 구절은 서로 반대가 되어야만 감응해 하나로 합해 질 수 있기 때문에 길하다고 하는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음양 논리를 제시하고 있다.

음양논리를 표상하는 효가 상구(上九)이다. 상효는 강한 양효가 모순이 극대화된 단계에 처해 있고, 육삼효(六三爻)와 정응(正應)하는 관계이지만, 삼효가 구이(九二)와 구사(九四) 두 개의 양효에 둘러싸여 호응하지 않기 때문에 상효가 질시하고 있다.

이 상황을 “서로 어긋나 상이한 때에 외로워, 돼지가 진흙을 뒤집어 쓰고 귀신이 수레에 실려 있는 것을 본다.”고 효사는 묘사하고 있다.

질시의 대상인 3효는 상효와 서로 반대가 되기 때문에 원수로 알고 활을 당기지만 실상은 혼인할 짝이다. 그러므로 효사는 “먼저 활을 당겼다가 뒤에 놓으니 원수가 아니라 혼인할 짝이다. 가서 비를 만난다면 길할 것이다.”고 하여 길한 것으로 평가한 것이다.

나와 상반되는 존재야말로 감응해 새로운 생명과 가치를 창조하는 소중한 짝임을 규괘는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설문해자(說文解字)』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
『주역절중(周易折中)』
『주역정의(周易正義)』(이정호, 아세아문화사, 1980)
『易經』(領木由次郞, 集英社, 1985)
집필자
최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