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4.5m. 석탑은 단층 받침돌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리고 반구형(半球形) 돌로 상륜부(相輪部)를 조성한 모습이다. 석탑이 있는 곳에는 해월사(海月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하며, 지금의 위치가 원래의 자리로 추정된다.
바닥돌은 땅 속에 묻혀 있어 구조를 알 수 없다. 단층 받침돌은 4장의 널돌로 면석을 짜고,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1개의 가운데 기둥을 새겼다. 받침돌의 덮개돌에는밑면의 쇠시리인 부연(副椽)과 윗면의 굄이 모두 생략된 채 아무런 새김을 하지 않았다.
1층 몸돌은 높이가 매우 높지만, 그 위의 몸돌은 낮은 편이어서, 체감을 주었지만 기형적으로 보인다. 몸돌의 각 면에는 별다른 새김이 없이 모서리 기둥만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고 두꺼운 편이지만 각 층마다 그 모습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3층과 5층의 지붕돌에서 더욱 확연히 나타나는데, 받침이 1층·2층·4층은 5단인데 반해, 3층과 5층은 각각 4단과 3단이어서, 비규율성을 나타내면서 체감률에도 혼란을 보인다. 지붕돌 추녀 밑의 전각(轉角)은 가벼운 반전(反轉)을 보이고 있다. 다만 반전은 곡선이 아니고 추녀 아래부분을 비스듬히 잘라서 절단면이 3각을 이루는 이형(異形)이다. 머리장식인 상륜부는 후대에 보충한 것으로 보이는 반구형 돌을 제외하고는 다른 석재가 없는 상태이다.
이 석탑은 백제계 석탑을 계승한 것으로, 1층 몸돌이 지나치게 길고 각 층의 지붕돌이 길고 넓어서 조형미를 갖추지 못한 듯 보인다. 곧 백제계 석탑으로는 가장 남쪽에 건립된 석탑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성 시기는 돌을 다듬은 수법이나 각 부분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 말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