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금산사 노주 (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금산사 노주
김제 금산사 노주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바닥돌, 받침돌, 상륜부 등으로 구성된 돌기둥. 노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김제 금산사 노주(金堤 金山寺 露柱)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바닥돌, 받침돌, 상륜부 등으로 구성된 돌기둥. 노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3m. 대적광전 앞마당의 왼쪽에 있다. 지금까지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가 알려지지 않아서, 단순히 그 모습에 따라 ‘노주’라고 부른다.

윗부분에 놓여 있는 보주(寶珠)만 없으면, 불상을 받치는 네모난 대좌(臺座)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한 모습이다.

노주는 몸돌이 없이 바닥돌, 받침돌, 상륜부(相輪部) 등으로 구성되었다. 1장의 돌로 이루어진 바닥돌은 평평하게 다듬은 윗면에 아래받침돌을 받칠 수 있는 1단의 높고 각진 굄이 새겨져 있다.

단면 4각의 아래받침돌 역시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다. 옆면의 위아래에는 굽처럼 생긴 가로띠가 돋을새김되었고,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새겨져 있는데, 1개의 가운데 기둥으로 나뉜 좌우면에는 안상(眼象)이 1구씩 얕게 오목새김되었다. 안상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안상처럼 가늘고 긴 모습이 아니라 2줄의 선으로 타원을 그린 모습이며, 그 안에는 가운데 아래부분에 귀꽃 모양의 꽃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아래받침돌의 윗면에는 2장의 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가 각 변마다 3개씩, 각 모서리마다 1개씩 모두 16개조각되었다. 연꽃무늬 위에는 가운데받침돌을 받치기 위해서 낮고 각진 굄, 4분원(四分圓)의 둥근 테두리 장식, 그리고 각진 1단의 굄 등 모두 3단의 굄을 두었다.

간주(竿柱)처럼 생긴 4각의 가운데받침돌은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석탑의 몸돌처럼 각 면의 좌우에 모서리 기둥을 2중의 윤곽으로 나타냈을 뿐, 아무런 장식이 없는 모습이다.

윗받침돌 역시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밑면에는 아래받침돌의 윗면처럼 낮고 각진 굄과 4분원의 둥근 테두리 장식, 그리고 각진 1단의 굄 등 3단의 받침이 새겨져 있다. 옆면에도 아래받침돌의 윗면과 같이 2장의 꽃잎이 위로 향해 있는 앙련(仰蓮)의 연꽃 무늬가 각 변마다 3개씩, 각 모서리마다 1개씩 모두 16개조각되었다. 다만 아래받침돌 윗면의 연꽃 무늬가 넓고 짧은데 반해, 윗받침돌 옆면의 연꽃 무늬는 좁고 길쭉하게 돋을새김되어, 그 모습이 전혀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연꽃 무늬를 새긴 수법은 같지만, 무늬를 새긴 공간이 달랐기 때문에 생겼다. 곧 아래받침돌에는 옆면의 안상 때문에 윗면에만 연꽃 무늬를 장식하였으므로, 윗면의 폭이 좁아 연꽃의 길이는 자연히 짧게 되었고, 각 변의 길이는 윗받침돌보다 길어서 연꽃의 너비를 넓게 할 수 있었다. 윗받침돌은 각 변의 길이가 아래받침돌보다 줄었고, 옆면에 안상 등의 다른 장식을 두지 않았기에, 밑면의 굄부터 옆면의 윗부분까지 전면을 연꽃무늬로 채워야 하였으므로, 연꽃이 좁고 길쭉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윗받침돌의 윗면에는 높고 네모난 1단의 굄이 있는데, 마치 여느 석탑의 노반(露盤)과 같아 보인다. 굄 위에는 가늘고 긴 간주가 놓여 있고, 그 위에 연꽃 봉오리 모양의 보주가 얹혀 있다. 약간의 손상이 있을 뿐, 대체로 완전한 모습이며 보존 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아무런 장식이 없지만 간주에만 1줄의 띠가 굵게 돌려져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사적(문화재청 편, 문화재청, 2010)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금산사』한국의 사찰11(한국불교연구원 편, 일지사, 1977)
「금산사의 시대별 가람배치 변화와 조선후기 후원자」(오세덕, 『불교학보』 89, 2019)
「관단 사원과 계단(戒壇)-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에서의 위상」(박광연, 『한국불교학』 88, 2018)
「金山寺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考察-탑 안에 봉안된 불상을 중심으로」(이분희, 『동악미술사학』 15, 2013)
「한국의 노주와 석표」(정영호,『고미술』1992년 가을호, 한국고미술협회, 1992)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