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3m. 대적광전 앞마당의 왼쪽에 있다. 지금까지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가 알려지지 않아서, 단순히 그 모습에 따라 ‘노주’라고 부른다.
윗부분에 놓여 있는 보주(寶珠)만 없으면, 불상을 받치는 네모난 대좌(臺座)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한 모습이다.
노주는 몸돌이 없이 바닥돌, 받침돌, 상륜부(相輪部) 등으로 구성되었다. 1장의 돌로 이루어진 바닥돌은 평평하게 다듬은 윗면에 아래받침돌을 받칠 수 있는 1단의 높고 각진 굄이 새겨져 있다.
단면 4각의 아래받침돌 역시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다. 옆면의 위아래에는 굽처럼 생긴 가로띠가 돋을새김되었고,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새겨져 있는데, 1개의 가운데 기둥으로 나뉜 좌우면에는 안상(眼象)이 1구씩 얕게 오목새김되었다. 안상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안상처럼 가늘고 긴 모습이 아니라 2줄의 선으로 타원을 그린 모습이며, 그 안에는 가운데 아래부분에 귀꽃 모양의 꽃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아래받침돌의 윗면에는 2장의 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가 각 변마다 3개씩, 각 모서리마다 1개씩 모두 16개조각되었다. 연꽃무늬 위에는 가운데받침돌을 받치기 위해서 낮고 각진 굄, 4분원(四分圓)의 둥근 테두리 장식, 그리고 각진 1단의 굄 등 모두 3단의 굄을 두었다.
간주(竿柱)처럼 생긴 4각의 가운데받침돌은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석탑의 몸돌처럼 각 면의 좌우에 모서리 기둥을 2중의 윤곽으로 나타냈을 뿐, 아무런 장식이 없는 모습이다.
윗받침돌 역시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밑면에는 아래받침돌의 윗면처럼 낮고 각진 굄과 4분원의 둥근 테두리 장식, 그리고 각진 1단의 굄 등 3단의 받침이 새겨져 있다. 옆면에도 아래받침돌의 윗면과 같이 2장의 꽃잎이 위로 향해 있는 앙련(仰蓮)의 연꽃 무늬가 각 변마다 3개씩, 각 모서리마다 1개씩 모두 16개조각되었다. 다만 아래받침돌 윗면의 연꽃 무늬가 넓고 짧은데 반해, 윗받침돌 옆면의 연꽃 무늬는 좁고 길쭉하게 돋을새김되어, 그 모습이 전혀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연꽃 무늬를 새긴 수법은 같지만, 무늬를 새긴 공간이 달랐기 때문에 생겼다. 곧 아래받침돌에는 옆면의 안상 때문에 윗면에만 연꽃 무늬를 장식하였으므로, 윗면의 폭이 좁아 연꽃의 길이는 자연히 짧게 되었고, 각 변의 길이는 윗받침돌보다 길어서 연꽃의 너비를 넓게 할 수 있었다. 윗받침돌은 각 변의 길이가 아래받침돌보다 줄었고, 옆면에 안상 등의 다른 장식을 두지 않았기에, 밑면의 굄부터 옆면의 윗부분까지 전면을 연꽃무늬로 채워야 하였으므로, 연꽃이 좁고 길쭉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윗받침돌의 윗면에는 높고 네모난 1단의 굄이 있는데, 마치 여느 석탑의 노반(露盤)과 같아 보인다. 굄 위에는 가늘고 긴 간주가 놓여 있고, 그 위에 연꽃 봉오리 모양의 보주가 얹혀 있다. 약간의 손상이 있을 뿐, 대체로 완전한 모습이며 보존 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아무런 장식이 없지만 간주에만 1줄의 띠가 굵게 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