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18m. 석탑은 원래 금산사에 속한 봉천원(奉天院)에 있었던 것을 현재의 자리인 대적광전(大寂光殿) 앞의 왼쪽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받침돌은 6각으로 만들어진 화강암 석재를 3단으로 올린 모습으로, 각 면에는 사자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받침돌 위에는 점판암으로 조성된 단면이 6각인 2장의 돌이 올려져 있는데, 이 돌은 몸돌을 받치기 위한 연화대(蓮花臺)로 추정된다. 곧 여느 석탑의 경우, 받침돌 윗면에는 몸돌을 받치는 굄대를 낮게 조각하였는데, 이 석탑은 이례적으로 윗돌에는 꽃잎이 위로 솟은 연꽃을 새기고, 아래돌에는 꽃잎이 아래로 향한 연꽃을 조각한 2장의 돌을 놓아 특이하다. 2장의 돌 사이에는 면석을 끼웠던 자리만 있을 뿐, 면석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탑신부(塔身部)는 단면 6각의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었는데,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다. 현재 몸돌은 맨 위의 2개 층만 남아 있을 뿐이고 그밖의 것은 모두 없어졌다. 몸돌에는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이 조각되었고, 면석의 가운데에는 둥근 테두리 안에 선으로 새긴 좌불이 있다. 각 층의 지붕돌은 몸돌이 없이 연화대 위에 겹쳐 있는데, 추녀 밑은 수평이고 윗면의 경사는 매우 완만하지만 전각(轉角)의 반전(反轉)은 뚜렷한 편이다. 밑면에는 받침이 있으며, 그 중심에 용과 풀꽃[草花]무늬가 선으로 새겨져 있다. 지붕돌 윗면과 밑면에는 홈이 패어 있는데, 몸돌을 하나의 돌로 만들지 않고, 각 면마다 1장의 널돌을 놓아 만든 흔적으로 추정된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에는 화강암 돌 하나가 놓여 있지만, 후대에 보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석탑은 점판암을 재료로 삼아 단면을 다각형으로 조성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일반형 석탑을 변형하여 6각이나 8각의 다각형 석탑을 만들면서 점판암을 재료로 사용하는 경향이 성행하였다. 이 석탑은 그런 과정으로 건립된 석탑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석탑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층의 체감 비례가 적절하면서, 몸돌과 지붕돌 각 면의 조각이 섬세하고 우아하여, 뛰어난 조형미를 갖추었다. 현재는 11층 지붕돌까지 남아 있지만, 원래는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처럼 13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립 시기는 몸돌 굄대의 연꽃무늬나 몸돌과 지붕돌 각 면의 조각 수법으로 보아, 10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