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경팔맥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기항지부와 연계되어 있는 8가지 경맥.
내용 요약

기경팔맥은 기항지부와 연계되어 있는 8가지 경맥이다. 12경맥과는 별도로 고유한 경혈을 가지고 있는 독맥과 임맥을 비롯하여 고유한 경혈이 없는 충맥·대맥·양교맥·음교맥·양유맥·음유맥 등 8개의 맥을 말한다. 기경팔맥의 특징은 장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서로 간에 표리배합도 없이, 다만 기능상 12경맥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기혈의 운행을 조절하는 특수한 경맥이다. 기경팔맥은 대부분 12경맥에서 파생된 것으로 12경맥의 나누어진 가지이다. 그 순행은 12정경맥과 교차하여 보다 더 긴밀한 순환구조를 이룬다.

목차
정의
기항지부와 연계되어 있는 8가지 경맥.
내용

12경맥(十二經脈)과는 별도로 고유한 경혈(經穴)을 가지고 있는 독맥(督脈)과 임맥(任脈)을 비롯하여 고유한 경혈이 없는 충맥(衝脈) · 대맥(帶脈) · 양교맥(陽蹻脈) · 음교맥(陰蹻脈) · 양유맥(陽維脈) · 음유맥(陰維脈) 등 8개의 맥을 말한다.

기경의 특징은 장부(臟腑)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서로간에 표리배합(表裏配合)도 없이, 다만 기능상 12경맥의 부족을 보충하여 기혈(氣血)의 운행을 조절하는 특수한 경맥이다. 기경팔맥 중 임맥과 독맥은 인체의 정중(正中)을 상하(上下)로 관통하지만 어떤 것은 좌우 양측에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몇 개의 기경은 체강(體腔)으로 들어가 내장과 연결되어 있지만 속락관계(屬絡關係)는 없고 어떤 것은 체표에만 분포되어 있다.

기경팔맥은 대부분 12경맥에서 파생된 것으로 그 순행은 12정경맥(十二正經脈)과 교차하여 보다 더 긴밀한 순환구조를 이룬다. 즉, 독맥은 수족삼양경(手足三陽經)과 교차하고 양경(陽經)의 경기(經氣)는 모두 독맥의 대추혈(大椎穴:제7경추와 제1흉추돌기 사이의 혈)에 모이며, 임맥도 마찬가지로 삼음경(三陰經)과 밀접하게 서로 연결되고 족삼음경(足三陰經)은 모두 임맥의 관원혈(關元穴:배꼽 아래 3촌 부위)과 중극혈(中極穴:배꼽 아래 4촌 부위)에 모인다.

임맥과 독맥을 제외한 나머지 6개의 기경 중에서 충맥은 기충혈(氣衝穴:배꼽 아래 5촌에서 양쪽으로 각 2촌 부위)에서 시작하여 족소음경(足少陰經)을 따라 올라가는 것으로 족양명경(足陽明經)과 족소음경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임맥과 같이 포중(胞中)에서 비롯되고 척추 안을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임맥과 독맥에도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충맥은 12경락이 모두 모이는 곳[十二經脈之海]이라 할 수 있다. 대맥은 가로로 허리와 배를 감싸고 있어서 몸통에 있는 여러 경맥과 연결되어 있고 기타 양교 · 음교 · 양유 · 음유의 4맥은 여러 음경(陰經)과 양경에 이어지며, 음양유맥(陰陽維脈)은 그물처럼 싸고 있는 관계에, 음양교맥(陰陽蹻脈)은 서로 내왕하고 모이는 관계에 중점을 둔 것이다.

주요 작용을 살펴보면 독맥은 인체의 모든 양경맥(陽經脈)이 다 모이는 곳이며, 신장(腎臟)이나 뇌(腦)에도 밀접하게 관련되고, 또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도 영향을 준다. 독맥의 작용은 주로 양기(陽氣)와 진기(眞氣)를 통솔한다. 임맥은 임신하고 태아를 양육시키며, 모든 음경맥의 기능을 조절하고 있다. 인체에 있어서 기(氣)는 양(陽)이고, 혈(血)은 음(陰)이다. 부녀자의 임신 · 출산 · 월경 · 대하 등은 음혈(陰血)에 관계되며, 한의학에서는 ‘임주포태(任主胞胎:임맥은 자궁과 태아를 주관함)’라는 말로 표현하여 임맥이 여러 음경을 주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충맥은 임맥과 같이 포중에서 시작된다. 혈해(血海)라고도 부르는 충맥은 12경맥과 오장육부에 대하여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12경맥이 모이는 곳, 오장육부의 기(氣)가 모이는 곳[五臟六腑之海]이라고 하는데, 충맥의 이러한 작용은 충맥이 족소음신경족양명위경에 연결되어 있고 임맥과 독맥 두 맥도 포중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맥은 오장육부와 12경맥에 맥기(脈氣)를 공급하여준다. 독맥은 인체의 양기를 주관하고 임맥은 음기를 주관하며 충맥은 이러한 경맥들과 특별한 관련이 있다.

대맥은 몸통에 있는 여러 경맥을 묶는다. 음교맥과 양교맥은 음경과 양경을 통솔하고 도와주는 기능이 있고, 음양교맥은 눈구석에서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과 만나고 두뇌부(頭腦部)에 분포되기 때문에 두 교맥은 해당 부위에 있는 경맥에 대한 통솔작용을 한다. 음유맥과 양유맥은 인체의 음경과 양경을 구분하여 묶고 있는 것으로, 양유맥은 인체의 외부를 주관하는 작용을, 음유맥은 내부를 주관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12경맥은 기경팔맥의 주체가 되며 기경의 대부분은 12경맥의 나누어진 가지이다.

한편 기경팔맥은 종횡으로 분포되어 있고 12경맥의 사이를 순행한다. 12경맥과 장부의 기운(氣運)이 왕성할 때에 기경은 그것을 저장하였다가 인체생리기능상 필요할 때에 공급해 준다. 음경맥의 기는 오장을 영양하고 양경맥의 기는 육부를 영양한다. 예컨대, 경기(經氣)가 충분하여 남으면 기경으로 흘러들어가 장부와 주리(腠理)를 윤택하게 한다는 것은 기경이 12경맥의 맥기를 저장하는 작용이 있음을 나타낸다.

『내경(內經)』에 “신기(腎氣)가 충만해진 뒤에 임맥이 통하고 태충맥(太衝脈, 즉 衝脈)이 왕성하여 월사(月事:月經)를 주기적으로 하게 된다.”고 한 것은 임맥과 충맥 두 맥이 신장의 맥기를 저장했다가 월경으로 보낸다는 것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또 충맥이 상행(上行)하여 여러 양(陽)과 정(精)에 흘러들어가고, 하행(下行)하여 삼음(三陰)과 여러 낙맥(絡脈)에 유입하고, 음유맥과 양유맥이 여러 경맥에 흘러들어가는 것은 기경팔맥이 마치 물을 필요에 따라 공급하거나, 충만하여 넘치는 물을 저장하는 것과 같은 작용이 있음을 나타낸다. 회음부에서 시작하여, 척주(脊柱)를 따라 상행하여 머리 뒷부분의 풍부혈(風府穴)에 이르러서 뇌 속으로 들어가 두정(頭頂)으로 나오고, 다시 계속하여 머리와 이마를 넘어서 코를 지난 다음 윗입술 안에서 그친다.

독맥의 소속경혈 가운데 본경혈(本經穴)은 장강(長强) · 요수(腰腧) · 양관(陽關) · 명문(命門) · 현추(懸樞) · 척중(脊中) · 중추(中樞) · 근축(筋縮) · 지양(至陽) · 영대(靈臺) · 신도(神道) · 신주(身柱) · 도도(陶道) · 대추(大椎) · 뇌호(腦戶) · 강간(强間) · 후정(後頂) · 백회(百會) · 전정(前頂) · 신회(䪿會) · 상성(上星) · 신정(神庭) · 소료(素髎) · 수구(水溝) · 태단(兌端) · 은교(齦交) 등이며, 교회혈(交會穴)은 풍문(風門:족태양방광경과연락) · 회음(會陰:임맥과 연락) 등이다.

상용혈 중의 인중(人中)은 원래 수구혈(水溝穴)을 말하는 것으로서 코와 입의 정중선에서 상방 3분의 2 되는 곳의 혈로 인사불성 · 경련 · 간질 · 신경통 · 요통 · 안면신경마비 등의 치료에 이용되며, 백회는 양쪽 귀 끝에서 머리 위로 올린 선과 인체의 정중선이 만나는 곳의 혈로서 두통 · 중풍 · 탈항 · 치질 · 신경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대추는 제7경추와 제1흉추돌기 사이에 있는 혈로서 오로칠상(五勞七傷) · 경항강통(頸項强痛) · 기관지염 · 경풍(警風) 등에 이용된다.

또 신주는 제3 · 4흉추돌기 사이의 혈로서 소아들의 모든 질환 및 요통 · 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명문은 제2 · 3요추돌기 사이에 있는 혈로서 생식기질환 · 요통 · 복통 · 대하 · 양위(陽萎) 등에 이용되며, 장강은 미골 끝 아래 움푹 들어가는 부위의 혈로서 요통 · 치질 · 항강 · 두통 · 전간(癲癇) 등의 치료에 이용된다. 중극혈(中極穴:배꼽 아래 4촌 부위) 아래에서 시작하여 회음혈로 나가 음모(陰毛)를 지나 복부(腹部)와 흉부(胸部)의 정중선(正中線)을 따라 인후를 거쳐 눈 밑에 이른다.

임맥의 소속경혈 가운데 본경혈은 회음(會陰) · 곡골(曲骨) · 중극(中極) · 관원(關元) · 석문(石門) · 기해(氣海) · 음교(陰交) · 신궐(神闕) · 수분(水分) · 하완(下脘) · 건리(建里) · 중완(中脘) · 상완(上脘) · 거궐(巨闕) · 구미(鳩尾) · 중정(中庭) · 전중(膻中) · 옥당(玉堂) · 자궁(紫宮) · 화개(華蓋) · 염천(廉泉) · 승장(承漿) 등이 있고, 교회혈(交會穴)로는 승읍(承泣:족양명위경) · 은교(독맥과 연락) 등이 있다.

상용혈 중의 관원은 배꼽 아래 3촌 부위의 혈로서 하복부동통 · 월경통 · 불임증 · 전신허약 · 비뇨생식기질환 등을 치료하며 장수혈(長壽穴)로 애용된다. 기해는 배꼽 아래 1촌5푼 부위에 위치한 혈로서 하초의 원기부족 · 제하동통(臍下疼痛) · 요통 · 생식기질환에 사용되고 장수혈로 애용되며, 중완은 배꼽 위 4촌 부위의 혈로서 위질환 · 식욕부진 · 곽란 · 신경쇠약 등의 치료에 이용된다.

전중은 양쪽 유두 사이의 중간 부위의 혈로서 심장병 · 유방통 · 늑간신경통 · 흉통 · 곽란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천돌(天突)은 흉골 상부의 함중(陷中)에 있는 혈로서 기관지염 · 편도선염 · 딸꾹질 · 천식 등의 치료에 이용된다. 임맥과 같이 포중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 척주 속으로 들어가고 또 다른 가지는 하복에서 복부 양쪽을 따라 올라가 인후부에 이르고 입술을 위로 돈다.

충맥의 소속수혈은 회음(會陰:임맥) · 기충(氣衝:족양명위경) · 횡골(橫骨) · 대혁(大赫) · 기혈(氣穴) · 사만(四滿) · 중주(中注) · 황수(肓腧) · 상곡(商曲) · 석관(石關) · 음도(陰都) · 통곡(通谷) · 유문(幽門)(이상 모두 족소음신경), 음교(陰交:임맥) 등의 혈(穴)과 교회하며 주로 장부의 기(氣)가 거꾸로 치솟아 오르는 증상을 비롯하여 흉복통 · 장명(腸鳴) · 설사 · 변혈(便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제2 · 3요추 사이에서 시작하여 계륵(季肋:제11 · 12늑연골 부위)을 지나 몸통을 한 바퀴 돈다.

대맥의 소속수혈(所屬腧穴)은 12정경(十二正經)의 경혈(經穴) 가운데 대맥(帶脈) · 오추(五樞) · 유도(維道)(이상 족소양담경) 등의 혈(穴)과 교회하며 주로 복부창만(腹部脹滿) · 사지동통이나 마비 · 월경불순 · 대하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안쪽 복사뼈 아래에 있는 조해혈(照海穴:안쪽 복사뼈 바로 아래 함몰 부위)에서 시작하여 계속 상행하여 대퇴부 안쪽을 따라 전음부(前陰部)를 지나 흉부와 쇄골을 거쳐 인후(咽喉)를 연(沿)하여 눈꼬리 안쪽에 이른 다음 뇌에 도달하여 끝난다.

음교맥의 소속수혈은 12정경의 경혈 가운데 조해(照海) · 교신(交信)(이상 족소음신경), 정명(족태양방광경) 등의 혈(穴)과 교회하며 소변이 시원스럽게 나오지 못하거나, 또는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복부에 덩어리가 있거나 딸꾹질을 할 때 사용된다. 바깥쪽 복사뼈 아래에서 시작하여, 계속 상행하여 대퇴부 바깥쪽을 따라 구리 뒷면을 지나 어깨와 목을 거쳐 입과 코를 연(沿)하여 눈구석에 이르러 뒤로 넘어가 풍부혈로 들어가서 끝난다.

양교맥의 소속수혈은 12정경의 경혈 가운데 신맥(申脈) · 복삼(僕參) · 부양(跗陽)(이상 족태양방광경), 거료(居髎:족소양담경) · 지창(地倉) · 거료(巨髎) · 승읍(承泣)(이상 족양명위경), 정명(睛明:족태양방광경) · 풍지(風池:족소양담경) · 풍부(風府) · 요수(腰腧)(이상 독맥) 등의 혈(穴)과 교회하며 발목이 밖으로 접질린 것[捻挫]이나 간질 및 불면증 등에 효과가 있다. 다리 안쪽 복사뼈 상방 다섯치 부위의 축빈혈(築賓穴)에서 그 맥기가 발생한다. 대퇴 안쪽을 따라 올라가 소복부(小腹部)에 들어간 다음 옆구리를 지나 인후부 양방(兩方)에서 임맥과 합한다.

음유맥의 소속수혈은 12정경의 경혈 가운데 축빈(築賓:족소음신경) · 충문(衝門) · 부사(府舍) · 대횡(大橫) · 복애(腹哀)(이상 족태음), 기문(期門:족궐음간경) · 천돌(天突) · 염천(廉泉)(이상 임맥) 등의 혈(穴)과 교회하며, 흉복부의 동통이나 심통(心痛) 등에 효과가 있다. 발꿈치 바깥쪽에서 시작하여 복사뼈를 지나 옆구리를 거쳐 어깨로 올라가서 앞이마에 이르렀다가 다시 목 뒤로 넘어와서 독맥과 합한다.

소속수혈은 12정경의 경혈 가운데 금문(金門:족태양방광경) · 양교(陽交:족소양담경) · 노수(臑腧: 수태양소장경) · 견정(肩井) · 풍지(風池:족소양담경) · 아문(啞門) · 풍부(風府)(이상 독맥), 뇌공(腦空) · 승령(承靈) · 정영(正營) · 목창(目窓) · 임읍(臨泣) · 양백(陽白) · 본신(本神)(이상 족소양담경), 두유(頭維:족양명위경) 등의 혈(穴)과 교회하며 일체의 발열성 질환(發熱性疾患)과 사지마비 및 두항부(頭項部)의 동통 등에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황제내경영추해석(黃帝內經靈樞解釋)』(홍원식, 고문사, 1973)
『팔십일난경해석(八十一難經解釋)』(성낙기, 고문사, 1974)
『최신침구학』(김현제 외, 성보사, 1979)
『침구대성』(양계주, 대성문화사, 1984)
집필자
맹웅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