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전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기복(基福)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의성(義城)
주요 관직
전한
정의
조선 전기에, 전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기복(基福). 김익령(金益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 김련(金璉)이고, 아버지는 김안국(金安國)이며, 어머니는 송림정(宋林正) 이효창(李孝昌)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9년(명종 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관직이 전한(典翰)에 이르렀다. 인물이 경박하고 출세에 급급하여 가정의 교훈을 따르지 않아 일찍이 숙부 김정국(金正國)이 우리 형제의 뒤를 이을 만한 자식이 없음을 한탄하였다고 하는데, 이 때에 와서 외척 윤원형(尹元衡)에게 붙으니 김정국의 말이 그대로 들어맞았다.

평소 김홍도(金弘度)와 사이가 좋지 못하여 서로 당을 만들어 다투었다. 1557년(명종 12) 윤원형이 첩을 처로 삼은 사실을 김홍도가 못마땅하게 생각하더라고 윤원형에게 고자질하여 조정을 어지럽게 만들었다.

이어 그의 당인 대사간 김백균(金百鈞)·사간 조덕원(趙德源)과 함께 탄핵하여 김홍도와 김규(金虯)를 각각 갑산과 경원으로 귀양보내고 김계휘(金繼輝)를 삭출시켰다. 뒤에 영의정 심연원(沈連源)으로부터 사사로운 원한으로 조정을 어지럽힌다고 탄핵을 받았다.

또 이어 양사(兩司: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조정에서 축출되었다. 1574년(선조 7) 우의정 노수신(盧守愼)이 서용을 청하여 한때 선조의 허락을 받았으나 삼사(三司)에서 극력 반대하여 끝내 서용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명종실록(明宗實錄)』
『대동야승(大東野乘)』
『모재집(慕齋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우인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