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정의 난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사건
780년(혜공왕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일으킨 반란.
사건/사회운동
발생 시기
780년(혜공왕 16) 2월
종결 시기
780년(혜공왕 16) 4월
관련 국가
통일신라
관련 인물
혜공왕|김지정|김양상|김경신
내용 요약

김지정(金志貞)의 난(亂)은 780년(혜공왕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일으킨 반란이다. 궁궐을 포위하였다가 같은 해 4월 상대등 김양상과 이찬 김경신의 군대에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와중에 혜공왕과 왕비가 살해되었다. 진압을 주도한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면서 중대가 끝나고 하대가 시작된다.

목차
정의
780년(혜공왕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일으킨 반란.
내용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본기」에 따르면 780년(혜공왕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반란을 일으켜, 무리를 모아서 궁궐을 포위하여 범하였다고 한다. 그 원인으로 왕이 어려서 즉위하였는데 장성하자 음악과 여색에 빠져 돌아다니며 노는 데 절도가 없고 기강이 문란해지니,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 인심이 등을 돌렸음을 들었다.

4월에 상대등 김양상(金良相)과 이찬 김경신(金敬信)이 군대를 일으켜 김지정 등을 죽였으나, 왕과 후비(后妃)는 난 중에 살해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경덕왕 · 충담사 · 표훈대덕조」에는 나라에 큰 난리가 일어나자 혜공왕선덕왕(宣德王)과 김양상(金良相)에게 살해된 것으로 나온다.

혜공왕 대는 768년(혜공왕 4) 7월 일길찬 대공(大恭)아찬 대렴(大廉) 형제의 반란과 구십육각간의 난, 770년(혜공왕 6) 대아찬 김융(金融)의 반란, 775년(혜공왕 11) 6월 김은거(金隱居)의 반란 등 고위층들의 반란이 연이어 발생한 혼란기였다.

김지정의 난은 혜공왕 대 반란의 마지막 결정타로서, 혜공왕과 왕비의 살해로 귀결되었다. 이후 김지정의 난 진압을 주도하였던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하면서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시대 구분상 중대(中代)가 끝나고 하대(下代)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된다. 김지정의 가계(家系)나 구체적 인적 사항 및 반란 이외의 행적은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일조각, 1974)

논문

이상훈, 「신라 하대 왕위계승전과 사병의 확대」(『신라사학보』 48, 신라사학회, 2020)
전덕재, 「신라 惠恭王의 弑害와 歷史的 評價에 대한 考察」(『新羅文化祭學術發表論文集』 39, 2018)
이문기, 「신라 혜공왕대 오묘제 개혁의 정치적 의미」(『백산학보』 52, 백산학회, 1999)
집필자
이재환(중앙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