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우남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나주 우남 고택 안채 정면
나주 우남 고택 안채 정면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조선후기 풍산홍씨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조선후기 풍산홍씨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나주평야에 접해 있는 낮은 구릉지역의 기슭에 자리 잡은 풍산리 마을은 풍산 홍씨의 동성마을로 제법 큰 마을이다.

이 마을의 집들이 다 그렇듯이 이 집도 서향하여 있다. 제일 깊숙한 곳에 一자형의 안채가 자리를 잡았고, 이와 평행하여 사랑채가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역시 一자형으로 자리하였다. 사랑마당 앞에는 대문채가 역시 서향으로 자리를 잡아 안채로부터 대문채까지가 거의 일직선의 축선 상에 놓이듯이 배열되어 있다.

안채와 문간채는 1900년대 초에 지어진 것이라 하며, 사랑채는 1700년대 중엽의 건물로 추정되고 있다. 대문간의 출입이 문간채의 중심부에 있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서, 처음 집을 지을 때부터 의도된 것인지는 모르나 대문으로부터 안채에 이르는 동선(動線)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배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간채의 남단에 위치한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의 한쪽을 통과하여 사랑채의 남쪽 측면을 지나 안채로 들어가게 된다.

안채는 여섯 칸 겹집으로 전퇴가 있으며, 대청의 후면으로 별도의 퇴를 달아낸 독특한 평면형식을 취하고 있다. 북쪽으로 두 칸의 부엌을 두었는데 전면 한쪽에 부엌방을 만들고 있다. 안방은 한 칸인데 후면에 쪽마루를 두었다.

이어서 두 칸의 대청이 있는데 뒤쪽으로 자그마한 고방을 내었다. 대청 다음이 건넌방인데 사방 한 칸으로 하였고 후면에 아궁이가 있으며 남쪽으로 툇마루를 깔고 그 끝에 뒤주를 설치하고 있다.

가구는 2고주 5량이고 전면의 툇마루 끝의 기둥만은 두리기둥을 썼다. 덤벙주추를 놓고 나지막한 기단을 쌓았다. 지붕은 합각이 있는 팔작기와지붕이다.

사랑채는 5칸 겹집이다. 전면과 남쪽 면에 툇마루를 둔 형식인데 대청마루를 남쪽 끝에 두어 툇마루와 함께 넓은 공간을 이루도록 하였다. 마루 다음으로 사랑방이 두 칸 이어진다. 사랑방은 중간에 미닫이로 칸막이를 하여 나누어서도 쓸 수 있고 터서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구조는 2고주 5량인데, 기둥의 배열에서 툇간을 무시하고 측면의 기둥을 일정하게 놓음으로써 기둥열이 맞지 않고 있다. 기둥머리에는 주두를 놓고 퇴보를 받았는데 보아지의 형식을 간략하게 하여서 소박하게 처리하였다.

도리는 굴도리이며 처마는 홑처마이다. 네 귀에 추녀를 건 팔작지붕인데 선자서까래를 제대로 걸지 못하고 엇선자로 처리하고 말았다. 또한, 덤벙주추를 놓았으며 기단은 약간 높아서 네벌대 정도의 높이이고 갑석만 장대석으로 하였다. 문간채는 5칸 겹집의 구조이며 남쪽으로부터 대문간 한 칸, 광 두 칸, 헛간·잿간의 순서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황의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