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돌

목차
관련 정보
함양 일두 고택 디딤돌
함양 일두 고택 디딤돌
주생활
개념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것을 도와 주기 위한 중간 단계의 돌.
목차
정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것을 도와 주기 위한 중간 단계의 돌.
내용

계단의 바닥돌이나 마루 아래의 섬돌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수한 것으로는 말을 탈 때 딛고 서서 올라타기 편하게 한 노둣돌도 이에 속한다.

마루에 올라서기 편하게 한 디딤돌은 보통 보석(步石) 또는 섬돌이라 부르는데, 적당한 자연석을 약간만 다듬어서 쓰기도 하지만 대개는 화강석을 잘 다듬어서 장대석으로 만들어 쓴다.

마루가 아니더라도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는 문지방이 높은 경우에는 문지방의 안팎으로 디딤돌을 놓는다. 잘 지은 집에서는 디딤돌의 길이를 길게 하여 주초석과 주초석 사이를 꽉 채우기도 하고 약간만 틔워 놓기도 한다.

마루가 상당히 높은 경우에는 디딤돌을 2단으로 놓는다. 이럴 때는 아랫단은 넓게 하고 그 위에 다시 한 단을 놓는 형식이 보통이다. 또, 돌 대신에 큰 나무토막을 가져다 놓기도 하였다.

마당에서 기단으로 오르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계단이라는 형식이 쓰이고 있으나, 기단이 그렇게 높지 않으면 간단한 장대석을 한단 놓음으로써 해결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것이 계단의 원초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계단의 바닥돌은 그대로 디딤돌이라 하며, 높이에 따라 여러 개의 디딤돌을 중첩하여 놓은 것이다.

잘 만든 계단의 디딤돌 중에는 연꽃이나 연잎[荷葉]을 선각(線刻)하여 딛고 올라가는 사람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가지게 함은 물론 강한 상징성을 내포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불국사의 연화교에는 디딤돌마다 연꽃이 조각되어 있어 그 위가 부처의 세계임을 암시하고 있으며, 법주사의 대웅전 앞 디딤돌에도 연잎을 새겨서 역시 그와 같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황의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