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정측면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에 있는 조선전기 낙산사 중창 당시 건립된 조선전기 7층석조 불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襄陽 洛山寺 七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8년 12월 19일 지정)
소재지
강원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낙산사 (전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에 있는 조선전기 낙산사 중창 당시 건립된 조선전기 7층석조 불탑.
개설

196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낙산사의 원통보전(圓通寶殿) 앞뜰에 세워져 있는 이 탑은 조선 세조(1455∼1468) 때 이루어진 낙산사 중창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의 중창은 왕실차원에서 각종 물자를 조달하였으며 1466년부터 시작되어 1468년까지 완성되었다.

이 탑은 1968년 12월 19일에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4월 5일 동해안 산불이 번지면서 낙산사를 덮친 화마로 이 탑도 손상을 입어 석탑 표면이 균열되는 등 많은 훼손을 당했다.

내용

탑의 높이는 6.2m이며, 옥개석 귀퉁이에 부분적으로 손상이 있는 것 이외에는 상륜부(相輪部)까지 모두 갖춘 완전한 형태이다. 탑의 구조는 평면이 방형(方形)으로서 단층의 기단석 위에 탑신부가 놓이고 그 위에 상륜부가 마련되어 있다.

기단부는 1석으로 된 방형의 지대석이 있어 그 윗면에 높고 큼직한 2단 받침을 마련하여 기단을 받게 하였다. 한 돌로 만든 방형의 하대석 윗면에는 24잎의 복판복련화문(複瓣覆蓮華紋)이 조각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1단의 낮은 받침을 내어 기단면석을 받고 있다.

면석은 방형 1석으로서 각 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그 위에 갑석이 놓여 있다. 갑석은 위와 아래가 모두 평평한 1매 판석인데, 밑에는 얕은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고 윗면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게 하였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층마다 1석씩인데, 각 층의 탑신 밑에는 방형의 두꺼운 굄돌 1매씩을 끼워놓은 점이 특이하다. 각 층 탑신에는 우주의 표시가 없고, 상층으로 올라가는 체감비율은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다.

옥개석은 그 아랫면에 층마다 3단씩의 각형 받침이 마련되어 있으며, 추녀는 매우 얇고 네 모퉁이의 전각은 반전(反轉)이 심한 편이다. 낙수면은 매우 평박(平薄)하고 각 모퉁이의 합각머리가 뚜렷하며, 특히 여기에도 전각부에 이르면서 반전을 보이고 있어서 추녀의 반전, 평박한 낙수면 등이 잘 어울려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옥개석 또한 체감비율이 낮아서 탑신부의 전체 형태가 높게 보이기도 한다. 각 옥개석 윗면의 탑신굄돌은 각형으로 1단씩을 내었는데, 이것은 그 위의 굄돌 아랫면의 받침부와 잘 맞도록 되어 있어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조탑(造塔)양식의 일부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상륜부는 칠층 옥개석 위에 각 층의 탑신굄돌과 똑같은 형태의 1석 굄대가 있고, 그 위에는 하면에 3단의 받침이 있는 노반(露盤)을 얹은 위에 청동제 찰주(擦柱 : 탑의 중심기둥)를 중심으로 하여 상륜부재가 겹쳐 쌓여 있다.

이 상륜들은 모두 청동제인데, 노반 위에는 원형의 복발(覆鉢)이 있으며 그 위에 원형의 앙화(仰花)가 놓이고, 그 위로는 보륜(寶輪)이 원추형으로 6륜(六輪) 겹쳐졌고 보주(寶珠)가 그 위에 장식되었다.

특징

노반 위의 청동제 상륜부는 그 형태가 곧 원나라의 라마탑(喇嘛塔)을 연상시키고 있어서 매우 주목된다. 또한 하대석 위쪽에 복련을 장식한 점이나 각층 탑신 아래에 괴임돌을 받친 점 등은 인근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신복사지 삼층석탑이나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탑신부와 비교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세조 때 낙산사의 중창과 함께 건립된 이 탑은 조선시대 유교를 국가이념으로 삼아 불교가 쇠퇴하고 그 조형 미술이 위축되었던 시기에 건립된 조선 전기의 탑으로 고려의 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다.

참고문헌

『낙산사(洛山寺)』(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전통사찰총서:, 강원도의 전통사찰』 1~2(사찰문화연구원, 2008)
『(寶物篇)文化財大觀 : 石造』(문화재청, 2004)
『江原道文化財大觀 』 1~2(강원도, 1993)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4 보물(寶物) 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탑파(韓國塔婆)의 연구』(고유섭, 동화출판공사, 1981)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