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굿거리 (굿거리)

목차
국악
작품
전라도를 비롯한 남쪽지방에서 풍류나 삼현육각으로 쓰이는 굿거리.
목차
정의
전라도를 비롯한 남쪽지방에서 풍류나 삼현육각으로 쓰이는 굿거리.
내용

경기지방 삼현육각 굿거리와 구별된다. 남도 승무(僧舞)나 검무(劍舞)와 같은 민간무용의 반주, 거상(擧床)으로 치는 삼현육각, 순음악으로 연주하는 줄풍류 굿거리, 성주풀이의 간주 등에 두루 쓰였다.

악기는 굿거리간주와 거상·무용 반주에는 해금·대금·목피리·곁피리·장구·북이 편성되며, 풍류굿거리에는 거문고·가야금·세피리·젓대·해금·양금·장구·단소가 편성된다. 장단은 3분박의 조금 느린 4박자로 굿거리장단에 맞으며 선율은 고정되어 있다.

선법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고, ‘솔’로 마쳐 경토리에 가깝다. 이 곡은 매우 화창한 느낌을 준다. →굿거리

참고문헌

「삼현육각소고」(이보형, 『문화재』15, 문화재관리국, 1979)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