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사령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전기 백규서무를 담당하던 내사성(內史省)의 장관.
목차
정의
고려 전기 백규서무를 담당하던 내사성(內史省)의 장관.
내용

『고려사』 백관지에는 국초에 내의령(內議令)을 두었다가 982년(성종 1)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삼성(三省)을 설치하면서 내사성의 장관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내사령이 내의령의 후신이라는 데는 이설도 있다.

1061년(문종 15) 6월 중서령으로 고쳤다. 품질은 종1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내사령은 문하성의 장관인 문하시중과 품질이 같지만 격이 높으므로, 마땅히 내사성과 문하성을 합친 내사문하성의 장관이 되어야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였다. 내사령은 상설 관직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인원에 구애됨이 없이 왕자와 중신에게 수여되는 명예직이었다. 고려의 실질적인 수상은 문하시중이었다.

그러므로 이제현(李齊賢)도 성오(省五)에 보이는 5직의 재신을 거론함에 있어, 시중·평장사(平章事)·참정(叅政, 叅知政事)·정당문학(政堂文學)·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들고 내사령은 빼고 있는 것이다. →중서령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 고대 중세의 지배체제와 농민』(박용운, 지식산업사, 1997)
『고려시대 중서문하성 재신 연구』(박용운, 일지사, 2000)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종친부(宗親府)」(김성준, 『한국중세정치법제사연구』, 일조각, 1985)
집필자
김성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