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원성 ()

고려시대사
유적
991년(성종 10)경, 거란(契丹)이 압록강 가에 쌓은 성곽.
유적
건립 시기
991년(성종 10)
관련 국가
거란
소재지
의주(義州)
내용 요약

내원성(來遠城)은 991년(성종 10)경 거란(契丹)이 압록강 가에 쌓은 성곽이다. 내원성은 압록강의 검동도(黔同島)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고려와 거란이 만나는 최전방에 위치한 요충지이다. 이 성은 고려와 거란 양국의 갈등이 고조될 때는 고려를 침입하기 위한 전진 기지 역할을 담당했으며, 평화 시기에는 양국의 문서를 주고받는 통로 역할을 담당하였다.

정의
991년(성종 10)경, 거란(契丹)이 압록강 가에 쌓은 성곽.
건립 경위

고구려 멸망 후 여진족(女眞族)의 소굴이 되었다. 991년(성종 10)경 거란(契丹)압록강가에 위구성(威寇城) · 진화성(振化城)과 함께 이 성을 다시 쌓아 여진이 송나라와 교통하는 것을 막는 한편, 고려 서북면에 압력을 가하였다. 그 뒤 고려와 거란 사이를 왕래하는 요지가 되었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를 보면, “내원성은 정주(靜州)에 있다. 즉 수중지지(水中之地)이다. 주9주5하면 이곳에 두었는데, (따라서) 그 성을 내원(來遠)이라 이름하였다. 노래로 기록한다.”라는 내용이 전한다. 이를 통해, 내원성은 정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물 가운데 땅(수중지지)’라는 표현을 통해 섬으로 이해되고 있다. 한진서『해동역사속(海東繹史續)』에서 “정주는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이다. 그런즉 압록강 가운데 있는 검동도(黔同島)나 위화도(威化島) 등이 생각건대 옛 내원현인 듯하다.”고 하였으며, 정약용도 “내원성은 물 안에 있음은 명확하다[來遠城明在水中].”라고 하여 압록강 안의 섬이라는 견해에 힘을 실어 줬다. 일본인 학자들도 한진서의 견해를 받아들이면서, 정주가 의주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수중지지’라는 점과 조선시대 사행로가 지나가는 길목에 위치한 점을 들어 사행로상에 위치한 검동도로 주6하였다. 이후 이 견해는 별 이견 없이 지금까지 받아들여지고 있다.

변천

1012년(현종 3) 거란에 사신으로 갔던 형부시랑 김은부(金殷傅)가 돌아오는 길에 이 성에 이르렀다가 거란의 사주를 받은 여진에게 납치된 일이 있었다. 이듬해 고려에서 이 성에 주4을 보내어 외교를 닦았고, 1032년(덕종 1)에는 거란의 사신이 이 성에 이르러 입국하려 하는 것을 고려에서 거절한 일이 있었다. 1035년(정종 1) 거란의 내원성사(來遠城使)가 흥화진(興化鎭)에 첩(牒)을 보내어 조공을 독촉하였다. 1055년(문종 9) 이 성의 군사가 고려의 성 근처에 궁구문(弓口門)을 설치하고 주8를 지으려 하자, 고려에서 거란의 동경유수(東京留守: 주1에게 국서를 보내 항의하였다. 이러한 것을 볼 때, 당시 내원성은 군사상뿐만 아니라 외교상으로도 요지였다.

1116년(예종 11) 내원성이 포주성(抱州城: 주2과 함께 금나라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이듬해 3월 요나라 장군이 고려에게 내원성과 포주성을 접수하라는 공문을 보내고 해로로 철수하자, 고려는 두 성을 점령하였다. 그리고 포주를 고쳐 의주방어사(義州防禦使)를 삼고, 압록강으로서 경계를 삼았다. 금나라가 요나라의 내원성과 포주성을 공격한 것은 고려와 요나라 사이의 연락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고려가 두 성을 접수, 점령하는 것을 금나라가 쉽게 승인한 것은 고려의 감정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내원성은 금나라가 점유해, 1183년(명종 13) 이 성을 내원군(來遠軍)으로 고쳤음을 고려에 통보해 왔고, 1217년(고종 4) 내원성에서 고려의 영덕성(寧德城: 의주)에 첩(牒)을 보내어 동진국(東眞國)의 주7와 거란의 군대를 서로 방어할 것을 약속해 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내원성은 고려와 금나라 사이에서도 국방상 · 외교상의 요지였다.

의의 및 평가

내원성은 고려와 거란이 만나는 최전방에 위치한 요충지로, 고려와 거란 양국의 갈등이 고조될 때는 고려를 침입하기 위한 전진 기지 역할을 담당했으며, 평화 시기에는 양국의 문서를 주고받는 통로 역할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해동역사속(海東繹史續)』
『강역고(疆域考)』

논문

박윤미, 「고려의 보주 수복과 고려-금 간 외교교섭」(『한국중세사연구』 51, 한국중세사학회, 2017)
정동훈, 「고려-거란 관계에서 세 층위의 소통 구조」(『역사와 현실』 107, 한국역사연구회, 2018)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 卷2(南滿州鐵道株式會社, 1913)
松井等, 「滿洲に於ける遼の疆域」(白鳥庫吉 監修, 『滿洲歷史地理』 2, 丸善株式會社, 1913)
池內宏, 『東京帝大文學部紀要 第3 高麗時代の古蹟址』(1919)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오늘날의 경주인 동경을 다스리던 벼슬. 삼품 이상의 벼슬아치를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압록강 동쪽, 지금의 의주 지방에 세운 성. 한때 중국 요나라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요나라와 금나라의 교체 시기에 고려의 영토가 되었다. 우리말샘

주3

중국 북쪽의 야만족.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액정국에 속한 종칠품의 벼슬. 우리말샘

주5

와서 항복함. 우리말샘

주6

어떤 미상(未詳)의 물체에 대하여 그와 유사한 다른 물체와 비교하여 그 성질을 정함. 우리말샘

주7

중국 금나라 말기의 무장(武將)(?~1233). 동경(東京), 지금의 랴오양(遼陽)에 도읍하여 대진(大眞)을 열었다가 동진(東眞)이라 국호를 고쳤다. 두만강과 압록강의 여진족을 통합하고자 힘썼다. 우리말샘

주8

경치 좋은 곳에 정자 모양으로 지어 한가히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9

예전에, 우리나라의 북쪽에 살던 여진족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