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신흥리 고분군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구덩식돌덧널무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구덩식돌덧널무덤.
내용

1959년 5월 한 주민이 신고한 직후, 충남대학교와 부여박물관에서 조사한 바 있다.

고분은 낮은 구릉의 능선 정상부에 가까운 동남쪽 경사면에 묘곽의 장축을 사면과 병행시켜 축조되어 있었으며, 20여 m의 거리를 두고 2기가 발견되었다.

현재 봉토(封土)는 남아 있지 않은데, 내부구조는 두 고분 모두 자연석괴를 사용하여 한겹으로 축조하고, 돌 사이는 진흙을 이겨서 채웠으며, 천장은 5, 6매의 판석으로 덮었다.

제1호분은 길이 267㎝, 바닥너비 84㎝, 상부너비 70㎝, 높이 90㎝이고, 제2호분도 비슷한 크기로 되어 있으나, 상부와 하부의 너비가 비등한 점에서 다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무덤의 장축은 20° 서쪽으로 기운 남북향이며, 북쪽에 딸린덧널[副槨]구역을 설치하여 주로 토기류들을 끼어묻었다.

1호분 으뜸덧널[主槨]에는 철검 한자루, 다수의 쇠살촉, 그리고 마구인 재갈이 껴묻혀 있었는데, 이들 가운데 말재갈은 백제고분출토품 가운데 극히 희귀한 자료로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토기는 둥근 밑바닥과 몸체를 가진 단지와 이 단지를 얹을 수 있는 단지받침이 주류이고, 손잡이가 달린 잔모양의 토기도 출토되었다.

특히, 단지와 단지받침이 함께 조(組)를 이루어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백제에서도 신라의 경우와 같이 단지받침이 사용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 고분의 구조상 큰 특징은 묘곽내부에 딸린덧널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논산신흥리백제고분(論山新興里百濟古墳)과 그 출토유물(出土遺物)」(윤무병, 『백제문화(百濟文化)』7·8합집, 197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