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

목차
관련 정보
놀이터
놀이터
민속·인류
개념
안전하고 자유로운 놀이를 위한 시설을 갖추어 별도로 마련한 고정적인 공간.
목차
정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놀이를 위한 시설을 갖추어 별도로 마련한 고정적인 공간.
내용

전통적인 놀이에서는 이러한 놀이터를 발견하기 어렵다. 민속놀이는 특별한 놀이터를 차리고 이루어지는 놀이가 아니라, 일상생활의 자연스러운 공간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는 놀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수한 놀이는 고정적인 놀이터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를테면 상층민들이 하는 활쏘기와 격구(擊毬)놀이 등이다.

활쏘기는 과녁판이 설치되어 있는 사장(射場)이라고 하는 활터가 마련되어 있어야 안전하게 활쏘기를 할 수 있고, 말을 타고 달리며 막대기로 공을 쳐서 구문(毬門)에 날려 넣는 격구놀이에는 잘 다듬어진 넓은 구장(毬場)이 필요하다.

≪고려사≫ 권129에 의하면, “최이(崔怡)는 이웃집 100여 구(區)를 빼앗아 구장을 축조하였는데, 동서가 수백 보요, 땅바닥은 평평하여 바둑판과 같았고, 격구할 때마다 동네사람들을 시켜 물을 뿌리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사치스러운 귀족의 놀이임을 알 수 있다.

일반민중은 활터 없이 활쏘기를 즐긴 것처럼, 민중들이 하는 격구(장치기)는 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얼음판이나 마당·잔디밭, 단단한 모래사장에서도 가능하였다.

따라서 민속놀이의 경우는 특별한 놀이터가 없다고 하여도 좋겠다.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놀이터는 마당이다. 마당은 일터이며 각종 의식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놀이터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놀이가 대부분 마당에서 이루어지고, 어른들의 풍물놀이·지신밟기·윷놀이 등이 마당에서 이루어진다. 회갑이나 혼례 때에도 마당에서 잔치판을 벌이고, 풍물에 맞추어 춤추고 노래부르며 잔치를 즐긴다. 마당이 집안의 놀이터라면 당나무 밑은 집밖의 놀이터이다.

마을 어귀에 자리잡고 있는 당나무는 동신목(洞神木)으로서 보름에는 동제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평소에는 마을의 놀이터 구실을 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넓은 그늘을 제공하기 때문에 아이·어른 없이 여기서 놀이를 즐기는 놀이터이다. 단오 때는 당나무에 그네를 매기도 하고, 남정네들은 그 밑에서 씨름판을 벌이는 곳이기도 하다. 지신밟기의 시작과 마무리도 거기서 이루어진다.

보다 활달한 놀이를 위해서는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여름철에는 마을 앞의 개울·강변·들판이 모두 아이들의 놀이터 구실을 한다. 어른들의 천렵과 화전놀이는 특별한 놀이터가 필요하다.

남정네들의 천렵은 개울가에 솥을 걸어놓고, 물고기를 잡아 안주를 만들어 먹으면서 즐기는 놀이이다. 아낙네들의 화전놀이는 진달래가 많이 핀 산을 놀이터로 삼는다.

겨울철에는 텃논이나 텃밭이 놀이터로 변한다. 아이들은 여기서 수시로 놀이를 즐기지만 어른들은 대보름에 여기서 대규모 놀이판을 벌인다. 동채싸움·줄다리기·놋다리밟기 등이 주로 텃논에서 행하여진다. 텃논이 주된 놀이터이기는 하지만 대보름 같은 명절에는 마을의 모든 공간이 놀이터로 바뀐다. 도시의 놀이터도 크게 다를 바 없었다.

시골과 달라서 당나무가 없거나 마당이 좁기 때문에 아이들의 놀이터는 주로 골목길이나 빈터가 된다. 공사장과 같은 위험한 곳을 놀이터로 삼거나, 제법 멀리 떨어져 있는 언덕받이나 동산에까지 올라가 놀기도 한다. 학교나 공공기관 가까이 사는 아이들에게는 학교운동장과 공공시설물이 곧 놀이터이다.

어른들의 경우는 놀이터가 거의 없다. 집밖에 나서면 공원과 같은 특수공간이나 유흥장 같은 상업적인 장소를 놀이터로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노인들의 경우 더욱 심각하여 도시의 노인들은 불결한 다리 밑에 모여 앉아서 무료를 달래는 새로운 풍속이 생겨났다.

놀이터의 사정은 역사적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근년에 와서 도시의 경우는 어린이들을 위한 공공놀이터가 많이 조성되었다. 아파트단지에는 이러한 놀이터가 빠짐없이 있다.

이러한 놀이터에는 으레 그네·시소·미끄럼틀 등이 있으나, 적극적인 놀이를 벌이기에는 부적합하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어린이들의 놀이터로서는 이용가치가 거의 없다.

상업적인 놀이터도 급증하였다. 전자오락실과 같은 소규모 실내 놀이터 외에, 각종 놀이시설을 갖추어놓고 가족동반의 나들이를 유도하는 놀이산업이 늘어났다. 포장된 넓은 광장이 새로운 놀이터 구실을 하는 것도 요즈음 변화된 놀이터의 모습이다. 잦은 운동경기와 프로스포츠의 번창으로 경기장이 놀이터 구실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구경꾼의 처지에서 보면 경기장은 놀이구경의 터일 뿐이다. 놀이터가 상업화되어 가는 한 경향이라 할 수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