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

목차
관련 정보
허수아비
허수아비
민속·인류
물품
농작물을 쪼아먹는 새들을 쫓기 위한 목적으로 사람이나 동물 모양을 만들어 논밭에 세워 두는 조형물.
내용 요약

허수아비는 농작물을 쪼아먹는 새들을 쫓기 위한 목적으로 사람이나 동물 모양을 만들어 논밭에 세워 두는 조형물이다. 고대에는 허수아비가 종교적 주술물의 구실을 했다. 후대에는 새나 짐승을 위협해서 쫓을 수 있는 실제적 형상물 구실을 하게 되었다. 허수아비의 형상은 보통 새들이 가장 익숙하고 무서워하는 농부의 모습으로 꾸민다. 시대의 변화나 필요에 따라 허수아비의 옷이나 형상이 다양하다. 새의 천적 관계인 뱀 모양·새들이 기겁하는 솔개 모양 등이 있고, 돌로 쌓은 허수아비도 있다. 허수아비의 유래를 이야기하는 전설도 전한다.

목차
정의
농작물을 쪼아먹는 새들을 쫓기 위한 목적으로 사람이나 동물 모양을 만들어 논밭에 세워 두는 조형물.
내용

주로 사람 모습을 한 것이 많으므로 제구실을 잘 하지 못한 채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사람을 빗대어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허숭아비 · 허시아비라고도 하며, 줄인 말로 ‘허제비’ · ‘허사비’ · ‘허아비’라고도 일컫는데, 허제비는 지역에 따라 허깨비와 같은 환상의 형상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를 천상과 지상을 이어 주는 신령한 존재나, 씨앗을 가져다 주는 곡모신(穀母神)으로 믿던 고대에는 허수아비가 종교적 주술물의 구실을 했으나, 후대에 내려올수록 새나 짐승을 위협해서 쫓을 수 있는 실제적 형상물 구실을 하게 되었다.

주술적 형상물에 의해 새를 쫓는 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게 되자, 새의 눈을 속이는 거짓 형상물을 만들어 새가 위협을 느끼고 농작물에 범접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허수아비의 형상 가운데 원형에 가까운 것은 장대를 가진 사람의 모양이다. 새에게 농작물에 가까이 가면 장대에 맞아 죽게 될 것이라는 공포심을 주기 위해서 새를 쫓는 장대를 들고 있게 하였다. 여기서 조금 나아간 형상이 사냥꾼의 모습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활을 든 사냥꾼의 모습에서 총을 든 사냥꾼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농부의 모습으로 많이 꾸민다. 새들이 가장 익숙해 있는 사람은 농부들이기 때문에 농부가 제일 무서운 존재인 것이다.

허수아비는 나무막대기나 짚 또는 새끼 등을 이용하여 十자형으로 뼈대를 만들고 그 위에 헌 옷을 입히며, 짚이나 새끼를 이용하여 머리 형상을 만들어 붙이고 옷가지로 덮어 씌운 뒤에 숯이나 먹물로 눈 · 코 · 입 등을 그려 넣는다.

그리고 큰 밀짚모자를 씌워 둔다. 자연히 팔을 좌우로 벌린 채 외발로 서 있는 남자의 모습을 하게 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밀짚모자가 중절모자 또는 운동모자 등으로 바뀌고, 허수아비에게 입히는 옷은 농부들이 입던 한복에서 양복으로 바뀌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늘 헌 옷으로 허수아비를 꾸미기 때문에 항상 옷차림이 남루한 거지 모습을 하게 된다. 이렇게 만든 허수아비는 논둑이나 밭둑에 세우기도 하고, 논밭 가운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세우기도 하는데, 세울 때에는 외다리 노릇을 하는 막대기를 땅에다 꽂아서 세워 두므로, 바람이 불면 앞뒤로 잘 흔들린다.

두 다리를 만들어 세우지 않고 외다리를 만들어 꽂아 두는 까닭은 허수아비가 잘 흔들려서 살아 있는 듯 보이게 하려는 의도 때문이다. 새떼들이 허수아비임을 눈치채고 조심조심 벼논에 몰려들었다가도 허수아비가 앞뒤로 우쭐우쭐 흔들리게 되면 놀라 날아가게 마련이다.

이러한 효과를 더 잘 내기 위해 허수아비 손 끝에다 새끼줄을 연결해 두고 새끼줄에 깡통과 헝겊을 매달아서 허수아비가 움직이면 새끼줄이 흔들리면서 깡통소리와 함께 헝겊도 너풀거려 새들이 깜짝 놀라서 달아나게 한다.

주로 사람 모양으로 만들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의 모양을 한 허수아비나 죽은 새의 날개를 같은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뱀은 새들이 겁을 내는 동물이므로 뱀의 모형을 짚으로 만들어 장대에다 휘휘 감아 두고 겉을 불에 그을려서 세워 두면, 뱀이 장대를 기어오르고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

그리고 죽은 새의 날개를 구해서 장대에 매달아 두기도 한다. 새들이 천적관계에 있는 뱀의 모습을 보고 두려워 쉽게 접근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새들의 시체를 보고서도 자신의 목숨에 위협을 느껴 함부로 접근하지 않는다. 매우 기능적인 것으로는 솔개 모양의 허수아비를 들 수 있다.

천이나 종이로 매 또는 솔개 모양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실에 연결해 두면 바람을 받아 갑자기 날아오르기도 하고 내려앉기도 하므로 새들이 기겁을 하고 달아나게 된다. 새의 생태와 심리상태를 깊이 이해한 뒤에 비로소 형성된 허수아비라고 하겠다.

충청남도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에서는 돌을 허수아비 모양으로 쌓아서 새를 쫓도록 하는데, 짚허수아비와 구별하여 돌허수아비라고 한다.

허름한 차림으로 논가에 서 있는 허수아비의 모습을 근거로 그 유래를 이야기하는 전설도 있다. 계모의 학대로 집을 쫓겨나 남의 집에서 머슴노릇하는 불쌍한 아들 ‘허수’를 찾아다니다가 거지가 된 허수아버지가 아들이 새 보는 논둑에 쓰러져 죽었는데, 새들이 허수의 아버지를 보고 날아들지 않아서 그 뒤부터 사람들이 새를 쫓기 위해 허수 아버지의 모습, 곧 허수아비를 만들어 세우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허수아비 고(考)」(송석하, 『한국민속고』, 일신사, 1963)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