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

목차
관련 정보
지구의
지구의
과학기술
유물
국가유산
조선 후기에 최한기(崔漢綺)가 청동으로 제작한 지구의.
이칭
이칭
보물제883호, 놋쇠지구의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지구의(地球儀)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6년 11월 29일 지정)
소재지
서울 동작구 상도로 369, 한국기독교 박물관 (상도동,숭실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최한기(崔漢綺)가 청동으로 제작한 지구의.
개설

보물 883호. 남북극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고, 규목(槻木, 느릅나뭇과에 속한 교목)을 파서 만든 사발모양의 받침대에 남북축을 수평이 되게 걸쳐 넣어놓았다.

내용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구의에는 10도 간격의 경선(經線)과 위선(緯線)이 그려져 있고,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그리고 황도(黃道)가 그려져 있는데, 황도에는 24절기가 표시되어 있다. 지도는 남극대륙을 제외한 세계지도가 거의 그려져 있고 한자로 된 각 나라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인 목발 입구에는 청동제 환(環)을 붙이고 거기에 360도의 눈금을 새겨 놓았다.

지구의는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청나라에서 선교사 벨베스트(湯若望)에게서 받아가지고 온 여지구(輿地球)라는 것이 처음인데 전하지 않고, 그뒤 1669년(현종 10)에 이민철(李敏哲) 등이 만든 혼천시계(渾天時計)에 들어 있는 지구의가 남아 있다.

그러나 지구의 만을 따로 만든 것으로는 최한기 작품이 유일한 것이다. 최한기가 쓴 『지구전요(地球典要)』에 있는 지구전도(地球前圖:東半球圖)와 지구후도(地球後圖:西半球圖)의 지도 윤곽이나 지명 등이 이 지구의와 똑같다. 따라서 지구의는 이 『지구전요』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 틀림없다.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특징

지구의는 직경이 24㎝, 목발의 지름이 26.8㎝, 높이가 27.7㎝이다.

참고문헌

『지구전요(地球典要)』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