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호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에 있는 호수.
지명/자연지명
면적
만수면적: 4.1㎢
소재지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용면 일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담양호는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에 있는 호수이다. 담양호는 영산강 최상류 지역에 댐을 건설하면서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과 용면 일대에 형성된 인공 호수이다. 강천산(전라북도 순창군), 치재산, 추월산(전라남도 담양군)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총 저수 용량은 7,760만 톤으로 대부분 주변 지역의 농업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에 있는 호수.
내용

영산강유역종합개발 1단계사업의 일환으로 1976년 9월 높이 46m, 길이 306m의 코어형 필 댐(fill 주1이 건설됨으로써 등장된 영산강 최상류의 저수지이다. 영산강 발원지인 가마골 용소(치재산)와 직선 거리로 불과 약 9㎞ 떨어진 지점(정각산과 부엉바위산 사이)에 댐이 건설되었다.

동쪽으로는 산성산(전라남도 담양군), 강천산(전라북도 순창군), 북쪽으로는 전라남도 담양군 소재의 용추봉, 치재산, 산신산, 서쪽으로는 추월산, 수리봉, 상봉, 정각산으로 애워싸여 유역을 이루며 남쪽에 자리잡은 댐에서 방류한 물은 영산강 본류가 된다.

유역 면적은 47.2㎢의 자체 유역과 인접 섬진강에서 유역 변경 방식으로 수량 보충을 위하여 설치한 취수보 지점의 18.4㎢ 간접 유역을 합하여 65.6㎢이다. 만수 면적 4.1㎢, 총 저수 용량 7,760만 톤으로 주2주3의 유량을 연간 조절하여 6.245ha의 농경지에 충분한 주4를 공급하여 연간 1만여t의 미곡을 생산하고, 댐 하류 담양읍 일원에 일당 3,000㎥의 상수도 용수 공급에 기여한다.

초당 최대 8.1㎥의 주5가 가능한 취수 시설과 초당 546㎥의 계획 홍수량을 조절, 방류하기 위하여 길이 50m의 수문 장치 없는 주6 댐을 가진 축구식 주7가 댐 안에 있다.

1976년 국민 관광지로 지정된 담양호는 여러 개의 깊은 계곡으로 이루어진 가마골과 함께 수려한 경관을 뽐내는 관광 명소이다. 29번 국도가 담양호 국민 관광지가 있는 서쪽을 지나며 북쪽에는 792번 지방도가 동서로 지난다.

참고문헌

단행본

『영산강개발』 (농수산부·농업진흥공사, 1979)
『대단위농업개발』 (농업진흥공사, 1981)

인터넷 자료

한국농어촌공사(www.ekr.or.kr)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https://rims.ekr.or.kr)
주석
주1

흙과 돌 따위의 재료를 완만하게 쌓아 올려서 만든 댐. 댐의 무게로 물에 의한 하중을 지탱하는 형식으로, 기초가 연약한 경우에도 축조가 가능하지만 물이 범람할 때에는 저항력이 약하다. 우리말샘

주2

연중 강수량과 지하와 하천의 유출수량이 과거 30년 동안의 평균 양을 웃도는 해. 우리말샘

주3

비나 눈이 평년보다 아주 적게 내리는 해. 우리말샘

주4

농사에 필요하여 논밭에 대는 데 드는 물. 우리말샘

주5

강이나 저수지에서 필요한 물을 끌어옴. 우리말샘

주6

액체 따위가 넘쳐흐름. 우리말샘

주7

수력 발전소나 저수지 따위에서, 물이 일정량을 넘을 때 여분의 물을 빼내기 위하여 만든 물길.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